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한글  한글(고어) 
◈ 원유가(願遊歌) ◈
카탈로그   본문  
남석하(南碩夏)
1
원유가(願遊歌)
 
2
어와 벗님네야 일생 허송 하지 마라
3
궁달이 때 있으니 질병은 웬일인가
4
인생부득(人生不得) 항상 소년을 내가 이미 알았으니
5
동원 도리 잠깐 봄을 그대 어이 모를쏜가
6
추풍에 병 나을 듯 일념으로 걸었으니
7
옛사람 놀던 자취 달 같이 밝아 있다
8
물가 종일 고관 모아 왕희지의 놀음이요
9
천명 믿고 의심 않는 도잠의 놀음이요
10
통소 부니 이는 연기 왕자진의 놀음이요
11
안장 앉아 부는 낙매(落梅) 이백의 놀음이요
12
봄날의 꽃과 새로 근심 풀이는 두보의 놀음이요
13
종일 보는 낙양화는 맹호연의 놀음이요
14
꽃 옆에 버들 따라 시내를 넘음은 정호의 놀음이요
15
이곳 외에 별천지는 주희암의 놀음이라
16
그도 그러 하거니와 취한 놀음 더욱 좋다
17
용산에서 떨군 모자 대숲의 맑은 바람
18
맹가여 너 있으니 완적이는 내 아닌가
19
필리부(畢吏部)의 술항아리 구양수의 정자에서 취한 것
20
번화한 여러 선비 다 각각 즐겨 있다
21
그도 그러 하거니와 명승에서 놀던 자취
22
이날 밤 밝은 달에 역력히 바라보니
23
누각 위에 남포 구름 등왕각의 승경이요
24
하늘 밖에 삼산이 솟아 봉황대의 승경이요
25
밤 종소리 객선에 들려 고소대의 승경이요
26
여름에는 폭포 소리 황강루의 승경이요
27
파릉 경치 동정호는 악양루의 승경이라
28
옛날 놀음 이러하니 내 아니 다시 놀까
29
장량의 옥통소와 소식의 사당주(沙棠舟)로
30
봄옷이 완성되니 육칠 동자 너도 가자
31
패교의 저는 나귀 이날에 흥겹게 타고
32
녹수 청산 깊은 데로 골골 찾아 들어 가니
33
삼간 초당 엄숙한데 작은 사립 닫아 두고
34
향로에 연기 사라지고 석양이 저무는데
35
두견 꾀꼬리 슬피 울고 앵무 공작 넘나는데
36
층암 절벽 수천 길에 폭포 물살 떨어지니
37
흐르느니 도화로다 무릉도원 이 아닌가
38
앉아보고 서서 보니 나도 또한 신선이다
39
사조(謝眺)의 명시구와 장진주 노래할 때
40
꽃 앞에 춤 석 달 여름 구름 밖에 울고 간 가을 기러기
41
술 다 마셔 술 없으니 통소 한 곡 깊은 데 앉았네
42
이 놀음 다한 후에 공명을 기약하고
43
안장 수레 치장하여 서울 거리 찾아가니
44
장삼 이사(張三李四) 소년들이 반겨 맞아 하는 말이
45
출세가 저러한데 늦게 옴은 웬일인고
46
경치 좋은 서울 다리 부르나니 자네로세
47
풍운이 늦은 것을 기쁘게 대답하되
48
이윤(伊尹)의 신야(莘野) 농사 탕임금을 만나 있고
49
여상(呂商)의 위빈(渭濱) 낚시 문왕을 섬겼으니
50
나도 또한 그 아니랴 충신열사 후예로서
51
작은 마음 가슴 속에 충효 두 자 밝았으니
52
바라나니 성군이요 생각하니 명주로다
53
급암(汲黯)의 와회양(臥淮陽) 정치 그도 또한 직신이요
54
노중련(魯仲蓮)의 동해 죽음은 이 아니 의사런가
55
황하수 한번 맑아 우리 성상 나계시니
56
하늘 같은 궁궐 안에 이 노래 들으시면
57
삼고초려(三顧草廬) 한의 유비 도원결의(桃園結義) 송 태조가
58
제갈량을 다시 보니 조보야 또 아닌가
59
한림원에 특교하여 의정부에 불러 모아
60
세 당상관 입궐할 때 곡진하게 하교하되
61
당우의 태평성대 내 벌써 하려 하나
62
고요 직설(皐陶稷契) 못 얻어서 어진 신하 바랐더니
63
초야의 숨은 신하 이날에야 만났으니
64
오현금 남풍시는 묻노라 어느 땐고
65
우리나라 다시 함이 일정이 마땅하다
66
큰 은혜 깊은 은혜 사 배하고 아뢴 말씀
67
군신유의 지중하니 보궐 습유(補闕拾遺) 마오리까
68
공명을 크게 닦고 벼슬 그만 아뢴 후에
69
범려의 오호주(五湖舟)로 한강수 건너와서
70
소광의 천일금(千鎰金)을 담양군에 흩어두고
71
감군은(感君恩) 한 곡조로 태평주 빚었으니
72
형 오소 아우 오소 시골 인심 더욱 좋다
73
그도 그러 하거니와 좌우 사람 바라보니
74
좋은 벗 구름 같고 훌륭한 벗 자리 가득
75
그대에게 권한 한 잔 오래 취해 깨지 마오
76
아이야 술 부어라 천하만사 한바탕 웃음이다
77
이런 놀음 저런 놀음 꿈결인가 잠결인가
78
광명한 이 세상에 대장부 되어서는
79
질병 없이 살아감을 진실로 바라노라
【원문】원유가(願遊歌)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여러분의 댓글이 지식지도를 만듭니다. 글쓰기
〔가사〕
▪ 분류 :
- 통계자료 없음 -
( 신규 )
지식지도 보기
내서재 추천 : 0
▣ 함께 읽은 작품
(최근일주일간)
▣ 참조 지식지도
▣ 기본 정보
◈ 기본
  원유가(願遊歌) [제목]
 
  남석하(南碩夏) [저자]
 
  가사(歌辭) [분류]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지식놀이터 :: 원문/전문 > 문학 > 한국문학 > 고전 시가 > 가사 카탈로그   본문   한글  한글(고어) 
◈ 원유가(願遊歌) ◈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 : 2025년 06월 23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