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한글(고어)  한글 
◈ 향산별곡 (香山別曲) ◈
카탈로그   본문  
조선시대 후기
작자 미상
1
香山別曲(향산별곡)
 
2
어졔 밤 비가 개니, 四山(사산)의 봄 빗치라
3
淸風閣(청풍각) 낫잠 야 春復(춘부)이 거의이니
4
童子(동자)가 六七(육칠)이요 어룬이 세네이라
5
東臺(동대)의 들깬 술을 天柱寺(천주사) 내려와서
6
六勝亭(육승정) 배를 매고 隱松亭(은송정) 올나가니
7
牧丹峰(목단봉) 넙흔 곳애 석양이 거의로다
8
石徑(석경)의 막 쇼 오나이 어대 중고
9
妙香山(묘향산) 봄 風景(풍경)을 너다려 물어 보자
10
시절이 三春(삼춘)이오 피니 뫼치라
11
峰峰(봉봉)이 푸른 비츤 蓬萊山(봉래산) 金光草(금광초)
12
골골리 흐른 물은 武陵(무릉)의 落花(낙화)로새
13
芒鞋(망혜)와 竹杖(죽장)을 欣然(흔연)히 옷을 쳐
14
飮博樓(음박루) 내다라서 小林村(소림촌) 지나가니
15
뛰니영 달바자의 鷄犬聲(계견성) 閑暇(한가)다
16
石倉(석창) 말을 슈여 魚川驛(어천역) 자가니
17
쇽의 슈삼 驛村(역촌) 저녁 내 자자졌다
18
솔바람 디난 後(후)의 四絶亭(사절정)을 올나보니
19
四五株(사오주) 너른 남기 樂落(낙락)희 버렀는대
20
空中(공중)의 달닌 집이 隱然(은연)의 숨어시니
21
壁上(벽상)의 삭인 글시 예삼람 좌최로다
22
푸른 돌 근 내의 들빗치 無限(무한)다
23
十里(십리)垂楊(수양) 밧께 歷歷(역력) 行人(행인)이라
24
匹馬(필마)를 채를 쳐서 月林江(월림강) 다다로니
25
적막한 荒江(황강) 위의 물쇼 이로다
26
부라고  불너서 빈 배를 재촉하니
27
靑山(청산) 一孤舟(일고주)로 蓑笠(사립) 쓴 져 舟者(주자)
28
滄浪曲(창랑곡) 白石歌(백석가)의 一生(일생)의 일이 읍다
29
白沙汀(백사정) 다 디나셔 九松臺(구송대) 너머가니
30
千萬疊(천만첩) 구름 뫼히 갈 기를 막아이다
31
絶壁(절벽)의 나무 희 소 딘는 쇼 나니
32
문도로 져 百姓(백성)아 눌 의하야 예서 산고
33
묏불이 진난 터의 석전(石田)을 길리가라
34
두 암쇼 한 쟁기의 치 갈고 내리 가라
35
官稅(관세)를 바친 後(후)의 計量(계량)을 오리라
36
一年(일년)을 버은 穀食(곡식) 남은 것 을만고
37
쇼나무 외다리로 獅子(사자)목 도라드니
38
尋眞亭(심진정) 자근 亭子(정자) 내의 지언는데
39
松下(송하) 흰 곳 같은 네다섯 중이로다
40
절고 마자나셔 압기를 前導(전도)다
41
杜鵑花(두견화) 丁香樹(정향수)은 左右(좌우)의 자졋는대
42
擔輿(담여)랄 기리모라 百花洞(백화동) 도라드니
43
宏廓峰(굉곽봉) 卓旗峰(탁기봉)은 劍戟(검극)을 묵꺼난대
44
香劍峰(향검봉) 皆盧峰(개로봉)은 반공(半空)의 뿜쇼낫다
45
 香(향)내 시내 소 十里(십리)에 한 빗치라
46
普賢寺(보현사) 밧 洞口(동구)의 曹溪門(조계문) 雄壯(웅장)니
47
한 줄로 늘근 숄리 風雨(풍우)가 셕꺼난대
48
얼두꼿 물방아가 一時(일시)에 소니
49
蒼茫(창망) 큰 洞壑(동학)이 白日(백일)의 雷霆(뇌정)이라
50
天王堂(천왕당) 깁흔 곳의 찰바람이 졀누 나니
51
黃金甲(황금갑) 칠성검(七星劒)에 네 將帥(장수) 난와셨다
52
萬歲樓(만세루) 크게 열고, 正堂(정당)의 안딘 후의
53
삭인 창(窓) 나난 첨하(簽下) 壯麗(장려)도 함도 사
54
四面(사면)의 그린 神仙(신선) 毛髮(모발)이 살아난 듯
55
큰 사매 놉흔 관의 늘근 중 올나와서
56
百八珠(백팔주) 쇼의글고 하쇼 木鐸聲(목탁성)
57
열네 房(방) 모든 중이 次例(차례)로 모혀오니
58
威儀(위의)는 창창고 예수(禮數)도 整齊(정제)다
59
蒼蒼(창창)한 松柏林(송백림)의 層層(층층)한 彩色(채색)딥이
60
眼力(안력)이 현황하니 갈 길이 稀微(희미)다
61
十王展(시왕전) 羅漢宮(나한궁)이 東西(동서)로 버럿난대
62
 압희 삭인 塔(탑)이 은제 적 功力(공력)인고
63
崑崙山(곤륜산) 白玉石(백옥석)을 蓮花臺(연화대) 삭여 내어
64
그 우희 十二層(십이층)을 層(층)마다 숑이라
65
모모히 걸닌 겨쇠 생 鶴(학)이 우니난 듯
66
衣冠(의관)을 整(정)히 하고 大雄殿(대웅전)을 나가니
67
金碧(금벽)이 燦爛(찬란)야 구름 쇽의 어리엿다
68
雙龍(쌍룡)을 크게 삭여 殿上(전상)의 셔려난대
69
左右(좌우)의 牧丹花(목단화)는 蓮(연)과 셕거 피여
70
靑紗籠(청사롱) 玉燈盞(옥등잔)을 面面(면면)히 거러두고
71
寶塔(보탑)을 너피무어 셔부쳐 안디시니
72
第一層(제일층) 金光(금광) 쇽의 世尊(세존)이 主塔(주탑)하고
73
彌勒佛(미륵불) 觀世音(관세음)은 次例(차례)로 모셰잇다
74
비단보 은궤을 古蹟(고적)을 자보니
75
釋迦如來(석가여래) 어금이가 至今(지금)의 宛然(완연)다.
76
漢文公(한문공) 佛骨表(불골표)의 석은뼈 이 안닌가
77
부쳐가 靈(영)타 한들 뼈죠차 그록랴
78
西山(서산)의 집단 막대 貴(귀)키도 貴(귀)커니와
79
惟政(유정)의 닙든 袈裟(가사) 백세의 寶(보)배로다
80
湖南(호남)의 八百(팔백) 義兵(의병) 千里(천리)의 싸혼 功(공)
81
滄波(창파)의  돗대로 王命(왕명)으로 도라오니
82
그 때의 닙던 오시 이 가사 긔 안닌가
83
觀音殿(관음전) 올라와서 赤蓮齋(적련재) 나아오니
84
쓸흔밥 뫼난물은 香(향)내롭기 그지읍다
85
밤중만 風磬(풍경) 쇼 꿈죠차 淸凉(청량)다
86
 벼개 덜 잠의 南窓(남창)을 녈어보니
87
冷冷(냉랭)한 솔바람의 만정(滿庭)한 花月(화월)이라
88
긴 밤을 안자새와 開心寺(개심사) 너머가니
89
전조(前朝) 적 삭인 거북 녯 碑(비) 등의 지고
90
풀 속의 업두연디 몃 百年(백년) 되단 말가
91
셔흔 여달 浮圖石(부도석)을 낫낫치 자보니
92
밤마다 瑞氣(서기)하기 아마도 奇異(기이)다
93
臺下瀑(대하폭) 暫間(잠간) 디나 引虎臺(인호대) 지리라
94
一千(일천) 길 쇠사슬이 絶壁(절벽)에 걸녀 잇다
95
半空(반공)의 몸을 내려 거름거름 올나가니
96
귀의  바람은 太淸(태청)에 홀로 난 듯
97
발 아래 흰 구름은 下界(하계)가 茫茫(망망)다
98
法王峰(법왕봉) 아젹 안개 돗난 예 바인난대
99
네 뫼의 구름 남기 그림 쇽 烟雨(연우)로다
100
九天(구천)의 銀河水(은하수)가 세 길로 려오니
101
散珠瀑(산주포)  형세 굿살을 헤잣난 듯
102
龍淵瀑(용연포) 깁흔 소의 노룡이 잠겻난 듯
103
上上層(상상층) 天神瀑(천신포)난 하밧 소로다
104
高麗(고려) 적 西域(서역) 중이 庵子(암자) 터 定(정) 따의
105
범이라 引導(인도)야 이 터의 오단 말가
106
바희우 는 닐로 上院庵(상원암) 건너가니
107
발근 窓(창)(淨) 궤의 景物(경물)이 瀟灑(소쇄)사
108
三淵先生(삼연선생) 四韻詩(사운시)가 座上(좌상)에 써잇시니
109
녜 사람 디온 그리 오난날 經(경)이로다
110
龍角石(용각석) 노픈 돌의 몃몃이 제명(題名)하고,
111
큰 글자 자근 劃(획)이 빈틈이 져여읍다
112
君子(군자)는 긔언마며, 小人(소인)은 몃 사람고
113
돌 우해 삭인 일홈 後人(후인)의 거우리라
114
(동)으로 셋재 峰(봉)에 佛影臺(불영대) 지어시니
115
千年(천년)의 네 史記(사기)를 예다가 주어다가
116
五臺山(오대산) 온긴 후의 梵王宮(범왕궁)의 되단 말고
117
方正(방정)한 너른 의 山杏花(산행화) 흣날이고
118
縹渺(표묘)한 놉흔 뫼의  새도 그처시니
119
石檀(석단)의 안진 중이 松陰(송음)의 죠을 적의
120
爐烟(노연)은 자라지고 풍탁(風鐸)이 절로 우니
121
내의 노 사람 제 와셔 질뜨린다
122
率夫(솔부)를 부러내여 杜鵑花(두견화) 다 진 後(후)
123
萬壑(만학)을 얼픗 지나 佛智庵(불지암) 드러가니
124
居僧(거승)을 다 나고, 빈집만 남아대
125
香爐(향로)의 찬재 우해 뫼주 자최이로다.
126
普賢庵(보현암) 點心(점심)고 賓鉢庵(빈발암) 올나가니
127
(경) 읽난 大師(대사) 중이 두세 弟子(제자) 다리고
128
緇衣(치의) 길게 끄어 客堂(객당)의 마정 드니
129
房房(방방)이 놉흔 床(상)의 床(상)마다 녜 經書(경서)
130
法服(법복) 가틴 後(후)의 誦聲(송성)이 洋洋(양양)니
131
太古(태고) 적 깁흔 뫼오 히만한 긴 날이라
132
人世(인세)의 榮辱(영욕)을 아다 모로논다
133
中臺(중대)을 계오 너머 檀君臺(단군대) 올나가니
134
樸地(박지) 一千峯(일천봉)이 臺(대) 아래 朝會(조회)고
135
上古(상고)의 흰 구름이 峰(봉) 우희 절노 난다
136
(향)나무 등걸 아래 神人(신인)을 뉘라 댄고
137
東方(동방)의 첫 人君(인군)이 이 안이 聖人(성인)인가
138
녯마리 蒼茫(창망)하니, 눌더려 무노니
139
斜陽(사양)을 엽희 기고 萬瀑洞(만폭동) 나려가니
140
百尺(백척)의 나난 무리 것구루 쇼들 져의
141
萬馬(만마)가 함긔 달녀 九龍(구룡)이 섯거 치니
142
項羽(항우)의 三萬精騎(삼만정기) 巨鹿(거록)의 掩襲(엄습) 듯
143
韓信(한신)의 二千紅旗(이천홍기) 조벽(趙壁)을 빼앗 듯
144
霹靂(벽력)이 急(급)히 치니 平地(평지)가 움직인다
145
牛足臺(우족대) 暫間(잠간) 보고 內院庵(내원암) 숙어 드니
146
바회쇽 쟈근 집은 金剛窟(금강굴) 奇異(기이)고
147
如來(여래)의 舍利塔(사리탑)은 古蹟(고적)이 疑心(의심)된다
148
큰 房(방)의 나려와서 이 밤을 더 새랴니
149
깁흔 뫼 혼자 밤의 萬籟(만뢰)가 寂寞(적막)다
150
香盤(향반)의 불이 퓌고 불등(佛燈)이 明滅(명멸)대
151
老僧(노승)의 기참 소래 긔 더욱 閑暇(한가)다
152
唐天使(당천사) 편지軸(축)의 宣廟朝(선묘조) 御製詩(어제시)
153
祥雲(상운)이 덥허대 百靈(백령)이 護衛(호위)다
154
見佛庵(견불암) 디나 거녀 武陵瀑(무릉폭) 드러가니
155
(금)모래 玉(옥)바회의 수정렴(水晶簾) 걸녓대
156
아적 빗기 쬐니, 五色(오색)이 섯거졋다
157
點點(점점)이 온 치 어디셔 러진고
158
이 물을 자가면, 긔 아니 도원(桃源)이랴
159
져 峰(봉)의 불근 기棟(동) 녜 庵子(암자) 터히던가?
160
迦葉庵(가섭암) 阿蘭庵(아란암)은 어늬 예 문허지고
161
香爐殿(향로전) 다 본 後(후)의 靈山殿(영산전) 올나가니
162
南精庵(남정암) 석긴비의 쇠북 쇼 신(新)다
163
白笑庵(백소암) 나린 峰(봉)의 天柱石(천주석) 놉하시니
164
繼祖庵(계조암) 오 길노 큰 졀로 도라와서
165
긴 시내 진 안개에 洞門(동문)을 다시 나셔
166
말 잡고 도라보니 萬壑千峰(만학천봉)
167
구룸 빗 이로다. (完)
【원문】香山別曲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여러분의 댓글이 지식지도를 만듭니다. 글쓰기
〔가사〕
▪ 분류 : 가사
▪ 최근 3개월 조회수 : 70
- 전체 순위 : 713 위 (2 등급)
- 분류 순위 : 46 위 / 264 작품
지식지도 보기
내서재 추천 : 0
▣ 함께 읽은 작품
(최근일주일간)
▣ 참조 지식지도
▣ 기본 정보
◈ 기본
  # 향산별곡 [제목]
 
  가사(歌辭) [분류]
 
  기행가사(紀行歌辭) [분류]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지식놀이터 :: 원문/전문 > 문학 > 한국문학 > 고전 시가 > 가사 카탈로그   본문   한글(고어)  한글 
◈ 향산별곡 (香山別曲) ◈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 : 2021년 03월 26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