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한글 
◈ 동화사 ◈
카탈로그   본문  
1937.8
백신애
1
동화사
 
 
2
오늘 갑자기 피서지 예찬(避暑地禮讚)을 쓰라는 명령을 받고 가만히 생각하니 어찌된 셈인지 나는 오늘까지 피서(避暑)란 명목으로 어디를 가 본 기억이 없는 듯하다. 본래정신(本來精神) 없는 사람이라. 혹 실념중(失念中)이나 아닌가 하여 집안 사람들에게 물어 봤더니
 
3
“너는 참외 버러지라 여름철에는 꼭 집 안에서 옷 끈 풀어놓고 그저 참외만 먹어대느라고 어디를 갈 여가(餘暇)가 있어야지 ─.”
 
4
라는 대답이었다.
 
5
그러면 나는 정말로 아무데도 피서를 가 보지 못한 것인가 보다.
 
6
그러니 어떻게 피서지 예찬(避暑地禮讚)을 쓸 수 있으랴마는 그래도 어떻게 써야 될 사정(事情)이니 한 곳을 골라잡아 보기로 한다.
 
7
조선(朝鮮)땅이비록 적을지나 대금강산(大金剛山)을 비롯하여 팔경팔승(八景八勝)이며 그 외(外)에도 수(數)없이 명승지지(名勝之地)가 있으니 이 중(中)에서 한 곳을 들어 예찬(禮讚)을 하려면 오죽이나 아름답고 피서지(避暑地)에 적절(適切)할 명구(名句)가 많으리요마는 하필 나는 별승경(勝景)으로는 이름을 날리지 못한 동화사(桐華寺)를 치켜들고 나오게 된다.
 
8
그 이유(理由)는 내가 멀지 않은 전일(前日)에 피서(避暑)는 아닐지나 그 비슷한 걸음을 하였던 곳인 까닭이요, 또 더움을 물리시는데도 동적(動的)인 해빈(海濱)이나, 아름답지 못한 미남미녀군(美男美女群)이 주래(住來)하는 명승지(名勝地)의 번잡(煩雜)한 곳들보다도 차라리 정적(靜的)인 양기(凉氣)에 아담스럽게 더움을 잊어버리기를 좋아하는 우리 가정여인(家庭女人)들의 유(流)에 따르려는 것이다.
 
9
그러면 이 동화사(桐華寺)란 어떠한 곳인가?
 
10
이미 아는 사람은 잘 알지니 대구(大邱)에서 동북(東北)으로 사리(四理)를 격(隔)한 팔공산중(八公山中)에 있으니 조선삼십일대본사중(朝鮮三十一大本寺中) 중의 하나이다.
 
11
그리고 또 무슨 무슨 명목(名目)이 많으나 그런 것은 다 ─ 그만두고 위병(胃病)에 특효(特效)가 있는 약천(藥泉)이 있다. 이 약수(藥水)는 말이 약수(藥水)이나 실상 사 ‘은이다’ 보다 더 맛이 있어 암만 마셔도 자꾸 마시고 싶은 감로이라 위병환자(胃病患者)에게는 다시 없을 것이다.
 
12
그러면 절(寺)이란 부처님의 영지(靈之)이니 더러운 속인(俗人)들이 유흥(遊興)삼아 피서(避暑)하려는 피서지(避暑地)로 말씀하기 죄(罪) 될 터이나 백사(百事) 만사(萬事) 모두 세상이란 말붙이기에 달린 것이니 염열지옥(炎熱地獄)의 중생(衆生)들을 한여름 동안이나마 선경(仙境)으로 제도(濟渡)해 주시는 곳이라면 그리 큰 죄(罪)는 안 될 듯하다.
 
13
그러면 안심(安心)하고 다음을 써야겠다는 미래(未來) 장작개비처럼 성 없는 나인지라 남들이 한번 읽고 쫓아가 보게 할만치 예찬(禮讚)은 할 줄 모르리니 그저 내가 가보던 그때 이야기나 적어볼까 한다.
 
14
출발지(出發地)를 알기 쉽게 대구(大邱)에서 시작(始作)한다면 승합자동차(乘合自動車)·마차등편(馬車等便)이 있기는 하나 그것보다 일금 사 원야(一金四圓也)만 주면 택시 한 대가 대절(貸切)이 된다.
 
15
막론(莫論)하더라도 피서(避暑)쯤 가는 사람들이니 불쾌(不快)하거나 노(怒)여워하고 싶지는 않을터이니 될 수 있는대로 도착(到着)되는 목적지(目的地)도 목적지(目的地)려니와 그까지 가는 도중(道中)부터도 유쾌(愉快)하고 웃음이 나고 즐거워야 하는 것이니 먼저 동화사(桐華寺)가는 길거리로 부터 시작(始作)해야겠다.
 
16
그때 내가 동화사(桐華寺)로 구경가던 그때는 동행(同行)이 다 같은 여인(女人) 두 사람과 나, 셋이었다.
 
17
택시로 대구를 떠나 동촌(東村)을 거쳐 비행경(飛行境)을 안고 돈 후, 멀리 구름이 걸려 있는 군봉(群峰)을 향(向)하야 달린다.
 
18
길이 좁고 요철이 많아서 평탄(平坦)한 포장도로(鋪裝道路)보다 운치가 배가(倍加)라 아무리 웃기 싫어도 웃음이 나오고 만다.
 
19
이 산모퉁이 저 산모퉁이를 뒤지듯 감돌아 돌다가 한 곳에 다다라 미련 있는 택시를 내려 초목이 우거진 아리랑 고개 같은 산고개를 올라선다.
 
20
이 곳서부터 반 리나 남았으니 죽장망혜가 아니더라도 우수(右手)로 섭의이상(攝衣而上)하고 좌수(左手)에 제휴(提携) 판치케 - 쓰 하여 고무신으로 행지(行之)하여도 그리 격에 떨어지지 않을 만하게 길의 고저가 심하지 않다.
 
21
좁은 길 좌우로 우거진 그림자에 축여진 길바닥은 몇 백 리 이렇게만 뻗어 있다면 걸어가기 괴롭지 않을 듯, 뜨거운 도로 위를 걷던 발바닥이 환희에 흥분이나 할까 두렵다.
 
22
그리하여 아주 낭만적으로 일보 일보로 길바닥의 축축한 맛을 아껴 가며 또한 굽이 감돌아 허리 굽은 장송하에 비껴 서서 좌우를 바라보면 건너편 묘한 석벽들에는 간간이 청송이요 그 앞에는 백석청암의 계곡이 맑고도 잔잔히 흐르고 떨어진다.
 
23
깊이깊이 녹수천만엽(綠樹千萬葉) 정갈함 속으로 좁고 길게 굽이굽이 숨긴 길로는 은은히 종소리 새어 올 듯.
 
24
아까운 길을 어느덧 다 지나고 산문에 당도하여 아무 대찰이나 별 차이 없는 본사를 돌아 대웅전에 절한 후 극락암으로 건너가 안을 들여다보면 기둥과 벽상에 써 붙인 글들이 그 속 깊은 본뜻이야 알 리 없는 속객에게도 금방 무슨 오(悟)하는 바가 있는 듯하게 하여 그까짓 더위쯤이야 티끌만한 문제거리도 안 되게 하니 이만하여도 피서가 된 셈이다.
 
25
이 극락암은 그 이름과 같이 이 산중에서는 제일 시원하여 극락인 듯싶지마는 그래도 초록은 동색이라고 우리가 막 다다른 곳은 여승암이다.
 
26
본사에서 고개 하나 넘어서면 벌써 저 나무 사이로 보이는 것이 여승암이라 말없이 들어서니 제일 먼저 눈에 와 밝히는 것은 대문 맞은 편의 기둥에다,
 
27
‘山中靜夜獨坐無言(산중정야독좌무언)’
 
28
이라고 써 붙인 것이다.
 
29
불전에 재배한 후 사중(寺中)에서도 승명이 높으신 박수좌의 안내로 열어 젖힌 소루(小樓)에 딸린 일방(一房)에서 예거 좌정하니 그 곳이 여승암이요 또 맑고도 고요한 수좌의 얼굴이라 우리는 병 속에서 있다가 수층에 놓여온 고기처럼 마음과 동작까지 자유롭고 편안하여 무척 무관하여진다.
 
30
암자의 전후좌우는 청송과 잡목이 멋있게 엉키어 그 번음 아래는 청풍이 놀고 있는 듯 방향을 희롱하고 어디에서 오는지 홈대를 타고 떨어지는 맑은 물소리와 즐거운 조제성(鳥啼聲)의 양미(凉味)는 박수좌의 그윽한 설법과 함께 염열지옥의 죄인들을 선경으로 한 걸음 한 걸음 녹아들게 하는 듯.
 
31
이러고 보니 사람이 피서를 하는지 여름이 피인을 하느라고,
 
32
“아이고 이 암자에는 있기가 싫구나.”
 
33
하고 달아났는지 모르겠다.
 
34
약천은 극락암자에서 제일 가까우나 아무데서라도 멀지 않으니 단지 몸뚱아리가 더위를 잊고 서늘할 뿐 아니라 마음까지 위장까지 속속대로 시원하게 청정이 되니 비록 화려한 승경은 없을지나 대구 근방에 뜻 있는 인사는 동화사로 가서 한 여름 동안이나 마음과 몸을 남김없이 청정하게 할지니라.
【원문】동화사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여러분의 댓글이 지식지도를 만듭니다. 글쓰기
〔수필〕
▪ 분류 : 근/현대 수필
▪ 최근 3개월 조회수 : 11
- 전체 순위 : 4094 위 (3 등급)
- 분류 순위 : 781 위 / 1821 작품
지식지도 보기
내서재 추천 : 0
▣ 함께 읽은 작품
(최근일주일간)
▣ 참조 지식지도
▣ 기본 정보
◈ 기본
  # 동화사 [제목]
 
  백신애(白信愛) [저자]
 
  1937년 [발표]
 
  수필(隨筆) [분류]
 
◈ 참조
 
 
 
 
  # 피서
 
▣ 참조 정보 (쪽별)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지식놀이터 :: 원문/전문 > 문학 > 한국문학 > 근/현대 수필 카탈로그   본문   한글 
◈ 동화사 ◈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 : 2021년 11월 1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