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4월 5일 (토)
(음 3월 8일, 甲辰)
집계기준 : 2025년 3월 31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이상(李箱)
•
광통관(廣通館)
•
정진사전(鄭進士傳)
•
신윤복(申潤福)
•
날개(-)
•
심청전(沈淸傳)
•
고전 문학(古典文學)
•
현대 소설(現代小說)
•
무정(無情)
•
시경(詩經)
•
권섭(權燮)
•
연행가(燕行歌)
•
허브드 주(Khovd)
•
김장생(金長生)
•
논어집주(論語集註)
•
우므느고비 주
•
지킬 박사와 하이드
•
설문 해자(說文解字)
•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
•
이방인(L’Étranger)
▣
4대 사화 (四大士禍)
바로가기
조선 연산군 때부터 명종 때까지 네 차례에 걸쳐 일어난 사화. 곧 무오사화, 갑자사화, 기묘사화, 을사사화를 가리킨다.
지식
:
역사 > 한국사 > 사건
조선 연산군 때부터 명종 때까지 네 차례에 걸쳐 일어난 사화. 곧
무오사화
,
갑자사화
,
기묘사화
,
을사사화
를 가리킨다.
관직을 차지해야만 정치적, 경제적인 특권을 누릴 수 있던 통치 제도의 모순에서 비롯된 것으로,
훈구파
와
사림파
가 싸워 대체로 사림파가 해를 입었다.
[숨기기]
4대 사화
(四大士禍)
무오사화
,
갑자사화
,
기묘사화
,
을사사화
훈구파
와
사림파
사림파
가 해을 입음.
◈ 지식지도
관계
4대 사화
(四大士禍)
사림파
(士林派)
사화
(士禍)
1504
갑자사화
(甲子士禍)
영남 학파
조의제문
(弔義帝文)
1722년
1694년
1680년
1689년
1545년
1547년
1549년
1519년
1498년
1353
길재
(吉再)
1389
김숙자
(金叔滋)
1417
신숙주
(申叔舟)
1431
김종직
(金宗直)
1435
이극돈
(李克墩)
1454
김굉필
(金宏弼)
1454
조위
(曺偉)
1455
조선 세조
(世祖)
1464
김일손
(金馹孫)
1469
조선 성종
(成宗)
1471
남곤
(南袞)
1480
이자
(李耔)
1482
김식
(金湜)
1482
조광조
(趙光祖)
1484
정순붕
(鄭順朋)
1486
김정
(金淨)
1488
김구
(金絿)
1494
조선 연산군
(燕山君)
1496
임백령
(林百齡)
1501
문정 왕후
(文定王后)
1515
윤원형
(尹元衡)
1536
이이
(李珥)
1544
조선 인종
(仁宗)
1545
명종
(明宗)
1545
위사공신
(衛社功臣)
1567
선조
(宣祖)
훈구파
(勳舊派)
성종실록
(成宗實錄)
1569
동호문답
(東湖問答)
1498
무오사화
(戊午士禍)
1519
기묘사화
(己卯士禍)
1545
을사사화
(乙巳士禍)
1589
기축옥사
(己丑獄事)
1613
계축옥사
(癸丑獄事)
1680
경신환국
(庚申換局)
1694
갑술환국
(甲戌換局)
1721
신임사화
(辛壬士禍)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