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의 발생에 선구적인 구실을 한 문학 형태의 하나. 우화적, 의인적 수법의 짤막한 전기체 설화로서 고려 말기에 나타나기 시작했다.
설화에서 탈피하여, 어떤 사물이나 동물을 의인화, 또는 우화(寓話)의 수법으로 그린 짧은 전기체(傳記體)의 설화이다. 허구의 주인공을 통해 사람들에게 경계하고 권선(勸善)할 목적으로 이루어진 풍자적인 문학형식이다. 고려시대 무신란으로 말미암아 세력을 잃게 된 문인들이 그들의 문학적 역량을 살리며 심정을 우의적으로 토로하기에 적절하여 성행하게 되었다. 고려중기 이후 설화문학은 가전체의 수법에 의해서 소설에 가까운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고려 시대의 대표적인 가전체 작품으로는
임춘의 『
국순전』, 『
공방전』,
이규보 의 『
국선생전』, 『
청강사자현부전』,
이곡의 『
죽부인전』,
이첨의 『
LST]》』, [[석식영암의 『
정시자전』 등이 《
동문선》에 전한다.
중국 사마천/문학(司馬遷)의 《사기(史記)》 『열전(列傳)』에서 그 근원을 찾을 수 있으며, 중국 한유(韓兪)의 「모영전(毛潁傳)」이 가전의 첫 작품이라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