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4월 8일 (화)
(음 3월 11일, 丁未)
집계기준 : 2025년 4월 7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이상(李箱)
•
고려 가요(高麗歌謠)
•
정진사전(鄭進士傳)
•
이생규장전(李生窺墻傳)
•
절벽(絶壁)
•
박태원(朴泰遠)
•
금오신화(金鰲新話)
•
김기림(金起林)
•
오륜가(五倫歌)
•
사모곡(思母曲)
•
5교 9산(五敎九山)
•
헤라클레스(Hercules)
•
최고운전(崔孤雲傳)
•
요들송(Jodel Song)
•
정과정곡(鄭瓜亭曲)
•
불상(佛像)
•
미스터 방( )
•
찬기파랑가(讚耆婆郞歌)
•
호르텐시우스법
•
미오겐(myogen)
▣
강세황 (姜世晃)
바로가기
[1713 ~ 1791] 조선 중기의 서화가, 문신. 호는 표암(豹菴)이고, 시호는 헌정(憲靖)이며, 자는 광지(光之)이다.
인물
:
인물 > 한국
[1713 ~ 1791] 조선 중기의 서화가, 문신. 호는 표암(豹菴)이고, 시호는 헌정(憲靖)이며, 자는 광지(光之)이다.
1772년(영조 48년) 그의 나이 60세에 영릉 참봉을 시초로, 호조 참판, 병조 참판을 거쳐
기로소(耆老所)
에 들어갔다.
서화에 뛰어났으며, 품계가 정헌대부에 이르렀다.
저서로는 《
표암집
》이 있고, 그림으로는 「난죽도」 「묵죽도」 「송죽모란도」 등이 있다.
18세기 영조와 정조의 통치 기간 동안 활동하면서 화단에 큰 영향을 끼쳤다.
그림을 그리거나 다른 사람의 그림에 평을 썼다. 당시 화단에서
남종문인화
,
진경산수화
,
풍속화
,
도석인물화
가 유행한 것이나 서양화법의 수용이 이루어진 것에는, 강세황의 영향력이 작용하였다. 더욱이 그는
김홍도
와
신위
에게 그림을 가르친 스승이기도 하였다.
[숨기기]
강세황
(姜世晃)
[1713 ~ 1791] 서화가, 문신. 호 표암(豹菴), 시호 헌정(憲靖).
활동 시기 : 영조·정조 시대 화단에 큰 영향을 미침
주요 작품 : 「난죽도」「묵죽도」 등.
화법 수용 : 서양화법과 문인화 유행
품계 : 정헌대부, 기로소 입소
저서 : 《표암집》
가족 : 강백년, 강현
제자 : 김홍도, 신위에게 그림 가르침.
◈ 지식지도
관계
강세황
(姜世晃)
1713
1650
강현
(姜鋧)
1603
강백년
(姜栢年)
1769
신위
(申緯)
1745
김홍도
(金弘道)
1394
기로소
(耆老所)
문인화
(文人畵)
진경 산수화
풍속화
(風俗畵)
도석인물화
남종화
(南宗畵)
도교
(道敎)
동양화
(東洋畵)
불교
(佛敎)
인물화
(人物畵)
청백리
(淸白吏)
1394년
1392
조선 태조
(太祖)
1417
강희안
(姜希顔)
1541
이정
(李霆)
1566
강주
(姜籒)
1676
정선
(鄭敾)
1696
김두량
(金斗樑)
1707
심사정
(沈師正)
1710
이인상
(李麟祥)
고수관
(高壽寬)
이명욱
(李明郁)
1754
김득신
(金得臣)
1758
신윤복
(申潤福)
1783
이재관
(李在寬)
1786
김정희
(金正喜)
1814
장프랑수아 밀레
1843
장승업
(張承業)
1853
조석진
(趙錫晋)
1861
안중식
699
왕유
(王維)
김홍도필 풍속도 화첩
한계만록
1751
인왕제색도
1776
김홍도 필 군선도 병풍
1796
김홍도 필 병진년 화첩
1721
신임사화
(辛壬士禍)
(미정의)
표암집
•
김후신(金厚臣)
•
강희언(姜熙彦)
•
최북(崔北)
•
김응환(金應煥)
•
강세황 영정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민화] 송하맹호도
김홍도 ()
(7)
[초상화] 강세황 초상 강세황 자필본
강세황(姜世晃) (정조 6년(1782))
(4)
▣ 참조 동영상
(인기순, 1~10 위)
도화서 화원 김홍도, 풍속화로 이름을 알리다 - 영상한국사 (295)
[역사 > 한국역사] (0)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