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4월 8일 (화)
(음 3월 11일, 丁未)
집계기준 : 2025년 4월 7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정진사전(鄭進士傳)
•
오륜가(五倫歌)
•
5교 9산(五敎九山)
•
이생규장전(李生窺墻傳)
•
미스터 방( )
•
불상(佛像)
•
호르텐시우스법
•
찬기파랑가(讚耆婆郞歌)
•
이상(李箱)
•
페루(Peru)
•
윤한홍(尹漢洪)
•
조수삼(趙秀三)
•
뮤지컬 영화
•
필리포스 2세
•
김문수(金文洙)
•
고려 가요(高麗歌謠)
•
박씨전(朴氏傳)
•
이오니아 양식
•
한국 문학(韓國文學)
•
노 희공(魯僖公)
▣
궁체 (宮體)
바로가기
한글 서체의 한 가지. 조선 시대의 궁녀들의 글씨체에서 비롯된 것으로 자획이 곧으며, 단정하고 아담한 것이 특색이다.
지식
:
예술 > 미술일반
한글 서체의 한 가지. 조선 시대의 궁녀들의 글씨체에서 비롯된 것으로 자획이 곧으며, 단정하고 아담한 것이 특색이다.
오늘날 우리들이 주로 쓰는 글씨체로서 한글 서예의 정통을 이루고 있으며, 크게 정자와 흘림으로 나뉜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궁체
(宮體)
글씨체
고체
(古體)
구양순체
(歐陽詢體)
국한문 혼서체
서예
(書藝)
송설체
(松雪體)
예서
(隷書)
왕희지체
(王羲之體)
전서
(篆書)
초서
(草書)
추사체
(秋史體)
해서
(楷書)
행서
(行書)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