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4월 5일 (토)
(음 3월 8일, 甲辰)
집계기준 : 2025년 3월 31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이상(李箱)
•
광통관(廣通館)
•
날개(-)
•
허생전(許生傳)
•
신윤복(申潤福)
•
정진사전(鄭進士傳)
•
시경(詩經)
•
용부가(庸婦歌)
•
이날치(李捺致)
•
무정(無情)
•
담양군(潭陽郡)
•
현대 소설(現代小說)
•
박유전(朴裕全)
•
대학(大學)
•
호질(虎叱)
•
김유정(金裕貞)
•
허브드 주(Khovd)
•
바다(-)
•
황조가(黃鳥歌)
•
정지용(鄭芝溶)
▣
김덕령 (金德齡)
바로가기
[1567 ~ 1596]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 시호는 충장(忠壯)이다.
인물
:
인물 > 한국
[1567 ~ 1596]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 시호는 충장(忠壯)이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1593년(선조 26년) 담양에서 의병을 일으켜
권율
장군의 휘하에 들어가,
곽재우
장군과 협력하여 왜군과 싸웠다. 여러 차례 왜군을 크게 무찔렀으나,
이몽학의 난
에 관련되었다는 모략으로 붙잡히어 옥중에서 죽었다.
영조 때 그 억울함이 알려져 병조 판서의 벼슬을 내렸다.
광주 광역시
충장사(忠壯祠)
에는 김덕령 장군의 의복이 보존되어 있는데, 민속 자료 제111호로 지정되어 있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김덕령
(金德齡)
1567
사단칠정
반란
(叛亂)
이기호발설
양주시
(楊州市)
1596년
1525
김성원
(金成遠)
1535
성혼
(成渾)
1537
권율
(權慄)
1552
곽재우
(郭再祐)
1493
성수침
(成守琛)
1496
임억령
(林億齡)
1497
백인걸
(白仁傑)
1501
이황
(李滉)
1501
조식
(曺植)
1503
권철
(權轍)
1510
김인후
(金麟厚)
1534
송익필
(宋翼弼)
1536
이이
(李珥)
1536
정철
(鄭澈)
1542
류성룡
(柳成籠)
1544
조헌
(趙憲)
1545
이순신
(李舜臣)
1546
이몽학
(李夢鶴)
1546
한현
(韓絢)
1547
원균
(元均)
1556
이항복
(李恒福)
1556
한교
(韓嶠)
1557
이귀
(李貴)
1559
유몽인
(柳夢寅)
1563
정엽
(鄭曄)
1563
홍계남
(洪季男)
1567
선조
(宣祖)
1572
이명준
(李命俊)
1573
안방준
(安邦俊)
1580
이서
(李曙)
1595
정종명
(鄭宗溟)
1601
김자점
(金自點)
16c중
고언백
(高彦伯)
1596
이몽학의 난
1592
임진왜란
(壬辰倭亂)
1593
행주 대첩
(幸州大捷)
1597
정유재란
(丁酉再亂)
1560
식영정
(息影亭)
권율장군묘
고양 충장사
(중복)
충장사
•
정탁(鄭琢)
•
장문포 해전
•
무등산 도립 공원
•
충장사(忠壯祠)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 참조 원문/전문
날쌔고 기운 센 김덕령 김 장군 이야기
근/현대 소설
조산강
(3)
힘과 옳음의 덩어리 김덕령 장군
이상대
(0)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