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4월 17일 (목)
(음 3월 20일, 丙辰)
집계기준 : 2025년 4월 14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이상(李箱)
•
절(寺)
•
강천사(剛泉寺)
•
신미록(辛未錄)
•
시경(詩經)
•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
춘향전(春香傳)
•
박태원(朴泰遠)
•
날개(-)
•
매화전(梅花傳)
•
태종 무열왕
•
김홍도(金弘道)
•
무정(無情)
•
난중일기(亂中日記)
•
조용조(租庸調)
•
윤동주(尹東柱)
•
6전(六典)
•
종로구(鍾路區)
•
산해경(山海經)
•
단군 신화(檀君神話)
▣
대한 독립 의군부 (大韓獨立義軍府)
바로가기
1913년에 조직된 국권 회복 운동 단체. 쓰시마섬에서 귀국한 임병찬이 고종의 밀지를 받고 조직한 비밀 단체이다.
기관/단체
:
단체 > 한국사 > 단체
1913년
에 조직된 국권 회복 운동 단체. 쓰시마섬에서 귀국한
임병찬
이 고종의 밀지를 받고 조직한 비밀 단체이다.
중앙에 원수부(元帥府)를 두고 서울, 강화, 수원, 개성, 광주에 5영을 설치해 각 도, 군, 면, 리에까지 조직을 확대했다.
일본 정부 및 조선 총독에게 국권 반환 요구서를 보냈고, 각국 공사관에 일제의 침략 행위를 규탄하는 문서를 보내고자 활동하다가 1914년에 미리 발각되어 실패하였다. 비록 성공은 못했으나 일제 침략 직후에 시도된 전국 규모의 첫 항일 운동이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대한 독립 의군부
(大韓獨立義軍府)
1913
의병
(義兵)
쓰시마섬
1913년
1914년
1917년
20세기
(20世紀)
1910년대
1905년
1910년
1911년
1912년
1915년
1916년
1918년
1919년
1851
임병찬
(林秉瓚)
1861
타고르
1878
안창호
(安昌浩)
1913
흥사단
(興士團)
1913
장한몽
(長恨夢)
1913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1905
을사늑약
(乙巳勒約)
1912
발칸 전쟁
•
이칙(李侙)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 참조 원문/전문
대한 독립 선언서
大韓獨立宣言書
공공기록물
조소앙(趙素昻)
(95)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