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그외 관심 원문 :   
【오늘】 2025년 4월 18일 (금) (음 3월 21일, 丁巳 ) 집계기준 : 2025년 4월 14일
박제순 (朴齊純)
[1858 ~ 1916] 구한국 말의 정치가. 호는 평재(平齋)이다. 을사오적의 한 사람이다.
박제순 (朴齊純) [1858 ~ 1916] 을사오적의 한 사람이다. 1883년(고종 20) 별시문과에 급제한 뒤 호조참의·형조참판·예조참판·한성부윤 등을 지냈다. 호조참판에 재임하던 1893년 동학교도들이 보은집회를 열자, 위안스카이(袁世凱)와 청나라 군사를 파병하는 문제를 의논했다. 갑오 농민 전쟁이 일어난 1894년에는 충청도관찰사로서 일본군과 경군(京軍)이 공주에서 농민군을 토벌하는 데 참여했다. 그 뒤 외부협관·중추원의관·외무대신·의정부찬정 등을 지냈다. 전권대신으로 1899년 조청(朝淸)통상조약, 1901년 조비(朝比)수호통상조약, 1902년 조백(朝白)수호통상조약 등을 체결했다. 1902년부터 주청전권공사(駐淸全權公使)로 있다가 1904년 귀국했다. 일제로부터 자작작위를 받고 중추원고문이 되었다.
◈ 지식지도 관계
박제순 (朴齊純) 1858 1898 무술정변 (戊戌政變) 중화 민국 (中華民國) 1911년 1898년 1859 위안 스카이 ([袁世凱]) 1905 을사 5적 (乙巳五賊) 1910 경술국적 (庚戌國賊) 1835 서태후 (西太后) 1849 고영희 (高永喜) 1854 권중현 (權重顯) 1858 민병석 (閔丙奭) 1858 이완용 (李完用) 1859 조민희 (趙民熙) 1860 조중응 (趙重應) 1863 나철 (羅喆) 1863 리 위안훙 1864 이병무 (李秉武) 1865 이근택 (李根澤) 1866 쑨 원 ([孫文]) 1870 이지용 (李址鎔) 1873 윤덕영 (尹德榮) 1876 전덕기 (全德基) 1907 정미7적 (丁未七賊) 1906 을사오적 암살단 1894 청·일 전쟁 (淸日戰爭) 1905 을사늑약 (乙巳勒約) 1911 신해 혁명 (辛亥革命) (미정의) 갑오농민전쟁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을사늑약(제2차 한·일 협약) 국제법(근대이전) 박제순 / 하야시 곤스케 (25) 한·청 통상조약 韓淸通商條約 (0)
◈ 참조 원문/전문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