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4월 10일 (목)
(음 3월 13일, 己酉)
집계기준 : 2025년 4월 7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전우치전(田禹治傳)
•
시경(詩經)
•
명심보감(明心寶鑑)
•
정진사전(鄭進士傳)
•
귀토설화(龜兔說話)
•
한양도성(漢陽都城)
•
이생규장전(李生窺墻傳)
•
정극인(丁克仁)
•
두껍전(----傳)
•
조용조(租庸調)
•
채만식(蔡萬植)
•
이옥(李鈺)
•
공장제 기계 공업
•
현진건(玄鎭健)
•
오륜가(五倫歌)
•
구운몽(九雲夢)
•
이상(李箱)
•
태평천하(太平天下)
•
만복사저포기
•
박씨전(朴氏傳)
▣
북악산 (北岳山)
바로가기
서울 분지의 북부에 있는 산. 백악산(白岳山)이라고도 하며 높이는 342m이다. 인왕산, 남산, 낙산과 함께 서울 분지를 둘러싸고 있으며 옛 성벽이 그 능선을 따라 둘리어 있다.
지역
:
지역 > 한국 > 산
서울 분지의 북부에 있는 산. 백악산(白岳山)이라고도 하며 높이는 342m이다.
인왕산
,
남산
,
낙산
과 함께 서울 분지를 둘러싸고 있으며 옛 성벽이 그 능선을 따라 둘리어 있다.
경복궁
이 이 산 남쪽에 자리잡고 있고, 서쪽 능선의 성곽에는 4소문의 하나인
창의문
(지금의 자하문)이 남아 있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북악산
(北岳山)
궁궐
(宮闕)
인왕산
(仁旺山)
낙산
(駱山)
종로구
(鍾路區)
1865년
1395년
1337
정도전
(鄭道傳)
1392
조선 태조
(太祖)
1820
흥선 대원군
보루각
(報漏閣)
국립 고궁 박물관
1992
국립 민속 박물관
창의문
(彰義門)
1395
경복궁
(景福宮)
경복궁 강녕전
경복궁 건춘문
경복궁 경회루
경복궁 광화문
경복궁 교태전
경복궁 근정전
경복궁 사정전
경복궁 영추문
덕수궁
(德壽宮)
한양도성
(漢陽都城)
경복궁 신무문
(神武門)
1405
창덕궁
(昌德宮)
1434
간의대
(簡儀臺)
1484
창경궁
(昌慶宮)
1617
경희궁
(慶熙宮)
(중복)
남산
◈ 최근등록순
고재완의 지식창고
>
문화재·역사·전
2023.06.15
◈
백악산(북악산)의 어제와 오늘
【문화탐방】
1968년 1.21 사태(북한 무장공비 청와대 습격사건) 후 폐쇄된 백악산이 2006년 한양도성길이 열리면서 조금씩 개방되어 2022년 5월 윤 대통령이 청와대를 떠나 용산으로 가면서 청와대가 개방되고 청와대 등산로에서 백악산 정상까지 등산로가 열렸다.
5
|
경복궁
,
북악산
,
종로구
,
청와대
,
백악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