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4월 5일 (토)
(음 3월 8일, 甲辰)
집계기준 : 2025년 3월 31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이상(李箱)
•
광통관(廣通館)
•
신윤복(申潤福)
•
정진사전(鄭進士傳)
•
현대 소설(現代小說)
•
심청전(沈淸傳)
•
무정(無情)
•
날개(-)
•
고전 문학(古典文學)
•
시경(詩經)
•
어부가(漁父歌)
•
연행가(燕行歌)
•
권섭(權燮)
•
김장생(金長生)
•
논어집주(論語集註)
•
김억(金億)
•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
•
가시리(-)
•
설문 해자(說文解字)
•
최서해(崔曙海)
▣
사고 (史庫)
바로가기
고려 말과 조선 시대에 걸쳐 실록을 보관하던 곳.
지식
:
역사 > 한국사 > 일반
고려 말과 조선 시대에 걸쳐 실록을 보관하던 곳.
고려 말기에 불당고라는 건물을 지어 실록을 보관한 일이 있고, 조선 시대에는 건국 초부터 춘추관과 충주에 실록 보관소를 두었으며, 세종 때에는 성주와 전주에 사고를 설치하였다.(
1439년
)
그 뒤 임진왜란으로 모두 불타 전주 사고본만 남게 되자, 1606년(선조 39년)에 그것을 4벌 더 인쇄하여 춘추관, 오대산, 태백산, 마니산, 적성산에 나누어 보관하게 하였는데, 그것이 이른바 5대 사고이다.
오대산사고
,
태백산사고
,
마니산사고
,
적상산사고
정족산사고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사고
(史庫)
정족산 사고
무주군
(茂朱郡)
적상산
(赤裳山)
1439년
15세기
(15世紀)
1430년대
춘추관
(春秋館)
조선 왕조 실록
오대산 사고
적상산 사고
묘향산 사고
적상 산성
(미정의)
마니산사고
(미정의)
태백산사고
•
상상(想像)
▣ 참조 동영상
(인기순, 1~10 위)
사고 건물의 설계 양식과 의미 - 영상한국사 (051)
[역사 > 한국역사] (0)
사고를 산속으로 옮긴 배경 - 화재의 위험과 전란 - 영상한국사 (049)
[역사 > 한국역사] (0)
조선왕조실록 보존 - 사고의 구조와 실록 보관 방법 - 영상한국사 (047)
[역사 > 한국역사] (0)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