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동부에 있는 성. 면적은 15만 7,000㎢이다. 성도는 타이위안이다.
동쪽은 타이항 산맥과 우타이 산맥, 서쪽과 남쪽은 황허강 중류의 협곡, 북쪽은 만리장성으로 둘러싸여 있어 각각 허베이·허난·산시의 각 성 및 네이멍구 자치구와 맞닿아 있다. 황투 고원의 일부이며, 평균 해발 고도는 600~3,000m이다.
지형적으로는 다음 세 가지로 분류된다.
①동부 고원:더 세밀하게 북부 고원과 동부 고원으로 분류한다. 북쪽의 헝산산, 동쪽의 타이항·우타이 산맥을 주체로 한 해발 고도 평균 1,500m의 고원이다.
②중부 펀허강 하곡의 지구대:비옥한 땅으로 이루어져 있다.
③서부 고원:뤼량·윈중 산맥으로 이루어지는 해발 고도가 평균 2,000m인 고원 지대이다. 산시성에서는 기원전 5,000~3,000년경부터 곡물을 경작해 왔다.
고대 부터 산시성은 허베이성과 허난성의 비옥한 평야로 들어가는 관문으로서 전략적 요지였으며, 중국 본토와 몽골 및 중앙 아시아의 초원 사이에서 완충 지대 구실을 해 왔다. 군사 원정이나 무역에서도 빠뜨릴 수 없는 묘지였으며, 인도에서 중국으로 전파되는 불교의 주요 통로 가운데 하나였다. 예로부터 이 지역에서는 무수한 왕조들이 흥망을 거듭하였는데, 왕조들의 세력 판도에 따라 산시성의 지위도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였다. 이 지역 사람들의 열성적인 상업 활동은 18~19세기에 중국 전역에 이름을 떨친 산시 금융업자와 산시 상인 계층을 형성하였다.
1911년 청나라가 몰락하자 군벌인 옌시산이 최고 권력자가 되어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날 때까지 산시성을 지배하였다. 중·일 전쟁 동안에는 일본에 의해 석탄 자원이 개발되었으며, 중공업도 크게 성장하였다. 1949년 공산주의자들이 산시성을 지배하게 되면서 공산주의자들이 예전에 산악 근거지에 설립하였던 농업과 수공업의 협력 체제가 산시성의 경제 부흥에 도움을 주었다.
기후는 대륙성 기후를 나타내지만, 타이항 산맥 때문에 여름에는 남동 산기슭에 비가 내리고 고원 내부나 북부에는 강수량이 적다.
경지가 25% 정도밖에 되지 않는 데다 농작물이 자랄 수 있는 기간이 짧고 토양이 자주 침식되어 농업 생산력은 그다지 높지 않다. 가뭄에 견디는 옥수수· 수수 등을 재배하고 관개용수가 완비된 곳에서는 주로 밀을 생산한다. 최근에는 수리 시설을 만들고, 황토의 유실을 효과적으로 막아 낼 수 있게 되어 농업에 활기를 띠고 있다. 황투 고원 특유의 계단상 지층을 교묘하게 이용하여 계단밭으로 만들어 경지를 넓혀 가고 있고, 경작 기술을 개량하는 데 힘쓰고 있다. 특히 시양현 다자이는 성공한 예로서 전국의 모범이 되고 있다. 또한 산시성은 중국에서 성 단위로는 가장 많은 면화를 생산하는 곳이며, 종자와 기름을 짜기 위한 참깨가 재배되고 있다. 담배· 목화· 땅콩 등 경제 작물도 재배되고 있다.
또한 산시성에는 막대한 양의 석탄과 철, 무연탄과 고급 코크스 등이 매장되어 있다. 이들 광물은 산시성의 중공업 발달에 기여해 왔다.
주요 광산 지대는 다퉁·시산·양취안·펀시·셴강 등이다. 지하 자원은 상당히 풍부한데, 특히 석탄은 다퉁·시산· 타이위안 등이 중국 제일의 매장량을 자랑한다. 150여 개의 광산이 성 전역에 걸쳐 분포되어 있다. 철광석이 채굴되고 있으며, 중국에서 가장 큰 티타늄과 바나늄 광산이 펀시 가까이에 있다. 대부분의 공업은 타이위안 위츠 지구에 집중되어 있다.
이 지역의 대표적인 공업으로는 시멘트·제지· 방직·제분·양조 공업 외에 철강·중기· 화학 비료 등이 있다.
교통은 퉁포·시타이·징바오 철도를 동맥으로 타이위안·펀양, 그 밖의 성 안의 각지로 길이 통하고 있다. 다퉁의 윈강 석굴불, 타이위안의 진사 등 사적지와 명승지가 많다.
그 밖에 펀양을 중심으로 펀주라는 술이 유명하며, 신장의 종이·먹·붓 등 전통 과 역사를 자랑하는 공예품이 많이 있다.
주민은 순수 한족이 대부분이며, 거의 모두 농촌에 거주하면서 북부 방언을 사용한다. 이슬람 교도인 후이족과 약간의 몽골족, 만주족을 포함한 소수 민족이 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