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그외 관심 원문 :   
【오늘】 2025년 4월 5일 (토) (음 3월 8일, 甲辰) 집계기준 : 2025년 3월 31일
삼국유사 (三國遺事)
고려 충렬왕 때 승려 일연(一然)이 엮은 역사책. 지은 연대는 대개 1281~1283년(충렬왕 7~9년) 사이로 보고 있다.
삼국유사 (三國遺事) 고려 충렬왕 때 승려 일연(一然)이 엮은 역사책. 지은 연대는 대개 1281~1283년(충렬왕 7~9년) 사이로 보고 있다. 고조선, 대방, 부여 등의 역사를 간략히 기록한 후, 신라, 고구려, 백제의 역사를 기록하였다. 삼국사기》가 정사(正史)인데 대해 《삼국유사》는 야사(野史)의 성격을 지니고 있어서, 정사에 빠진 사실들을 많이 수록하고 있다. 특히 단군 신화를 비롯하여 전설, 설화 및 불교에 관한 이야기가 많이 실려 있고, 또한 신라 향가 14수가 실려 있어서 고대 어문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오늘날 고려 때의 원본은 전하지 않으나, 1512년(조선 중종 7년)에 이계복이 다시 펴낸 것이 전한다.
◈ 지식지도 관계
삼국유사 (三國遺事) 1281 단군 신화 (檀君神話) 향가 (鄕歌) 건국 신화 경기체가 (景幾體歌) 고려 가요 (高麗歌謠) 고전 문학 (古典文學) 신화 (神話) 고조선 (古朝鮮) 1298년 1277년 1145년 1135년 918 고려 (高麗) 1075 김부식 (金富軾) 1206 일연 (一然) 1274 충렬왕 (忠烈王) 1071 김부일 (金富佾) 1079 김부의 (金富儀) 1085 묘청 (妙淸) 1085 정지상 (鄭知常) 1119 김돈중 (金敦中) 1123 고려 인종 (仁宗) 1259 고려 원종 (元宗) 1259 제국 대장 공주 1260 쿠빌라이 칸 1275 충선왕 (忠宣王) 단군 (檀君) 환웅 (桓雄) 환인 (桓因) 김근 (金覲) 1974 성암 고서 박물관 1145 삼국사기 (三國史記) 균여전 (均如傳) 도천수관음가 보현십원가 서동요 (薯童謠) 원가 (怨歌) 원왕생가 (願往生歌) 제망매가 (祭亡妹歌) 찬기파랑가 처용가 (處容歌) 총결무진가 풍요 (風謠) 헌화가 (獻花歌) 혜성가 (彗星歌) 우적가 (遇賊歌) 안민가 (安民歌) 700 모죽지랑가 760 도솔가 (兜率歌) 888 삼대목 (三代目) 1135 묘청의 난 (妙淸--亂) 일본원정 1572 옥산 서원 (玉山書院)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삼국유사 三國遺事 한국역사 일연 (536)
◈ 참조 원문/전문
삼국사기 三國史記 한국역사 김부식 (853) 조선의 신화 근/현대 수필 최남선 (49) 조선의 신화와 일본의 신화 근/현대 수필 최남선 (5) 효녀 지은 孝女 知恩 근/현대 수필 차상찬 (3) 승암의 괴녀 근/현대 소설 김동인 (2)
 
◈ 최근등록순
2020.06.29
보물 ‘삼국유사 권4~5’ 국보로 지정 예고
【문화】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보물 제419-3호 ‘삼국유사 권4~5’를 국보로 지정 예고하고 세계에서 유일하게 우리나라에만 남아있는 것으로 알려진 원(元)나라 법전인 ‘지정조격 권1∼12, 23∼34’를 비롯해 ‘장용영 본영 도형 일괄’을 보물로 지정 예고하기로 하였다.【유형문화재과】
 
▣ 참조 동영상 (인기순, 1~10 위)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