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그외 관심 원문 :   
【오늘】 2025년 4월 12일 (토) (음 3월 15일, 辛亥) 집계기준 : 2025년 4월 7일
신라 (新羅)
우리 나라 고대 왕국 중의 하나. 고구려, 백제 와 더불어 삼국 시대를 이루었다.
신라 (新羅) 우리 나라 고대 왕국 중의 하나. 삼국 시대 고구려, 백제, 신라
◈ 지식지도 관계
신라 (新羅) 삼국 시대 경기체가 (景幾體歌) 구양순체 (歐陽詢體) 말갈 (靺鞨) 박혁거세 신화 발해악 (渤海樂) 시조 (時調) 아악 (雅樂) 처용무 (處容舞) 향가 (鄕歌) 백제 (百濟) 거란 (契丹) 낙랑군 (樂浪郡) 돌궐 부여 (夫餘) 고구려 (高句麗) 남북국 시대 713 발해 (渤海) 918 고려 (高麗) 후고구려 (後高句麗) 후삼국 (後三國) 1392년 918년 698년 651년 581 (隋) 699 (震) -57 박혁거세 (朴赫居世) 요극일 (姚克一) 신라 십현 629 김인문 (金仁問) 711 김생 (金生) -37 동명성왕 (東明聖王) 문명 왕후 (文明王后) 1055 의천 (義天) 1351 공민왕 (恭愍王) 1749 유득공 (柳得恭) 371 소수림왕 (小獸林王) 391 광개토대왕 654 태종 무열왕 655 설총 (薛聰) 661 문무왕 (文武王) 699 대조영 (大祚榮) 6세기말 을지문덕 (乙支文德) 857 최치원 (崔致遠) 901 궁예 (弓裔) 918 고려 태조 (太祖) 949 광종 (光宗) 국자감 (國子監) 향학 (鄕學) 지봉유설 (芝峰類說) 필원잡기 (筆苑雜記) 1145 삼국사기 (三國史記) 1135 묘청의 난 (妙淸--亂) 1170 무신의 난 (武臣--亂)
실성왕(實聖王) 아달라 이사금 초고왕(肖古王) 벌휴 이사금 독사신론(讀史新論) 내해이사금(奈解尼師今) 구수왕(仇首王) 유리 이사금 미추왕(味鄒王) 유례이사금(儒禮尼師今) 기림이사금(基臨尼師今) 흘해왕(訖解王) 내물왕(奈勿王) 남해 차차웅 눌지왕(訥祗王) 자비왕(慈悲王) 소지왕(炤知王) 지증왕(智證王) 법흥왕(法興王) 진흥왕(眞興王) 탈해 이사금 진평왕(眞平王) 아막성전투(阿莫城戰鬪) 선덕 여왕(善德女王) 진덕 여왕(眞德女王) 삼국 통일(三國統一) 신문왕(神文王) 효소왕(孝昭王) 성덕왕(聖德王) 효성왕(孝成王) 경덕왕(景德王) 혜공왕(惠恭王) 선덕왕(宣德王) 원성왕(元聖王) 애장왕(哀莊王(藏)) 신무왕(神武王) 소성왕(昭聖王) 파사이사금(婆娑尼師今) 헌덕왕(憲德王) 흥덕왕(興德王) 희강왕(僖康王) 민애왕(閔哀王) 문성왕(文聖王) 헌안왕( ) 경문왕(景文王) 헌강왕(憲康王) 정강왕(定康王) 진성여왕(眞聖女王) 효공왕(孝恭王) 신덕왕(神德王) 경명왕(景明王) 경애왕(景哀王(敬)) 경순왕(敬順王) 가야(伽倻) 진한(辰韓) 후백제(後百濟) 나·당 연합군 지마왕( ) 일성왕( ) 진지왕(眞智王) 첨해왕( ) 조분왕( ) 서라벌(徐羅伐)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 참조 원문/전문
고구려와 신라의 건국연대에 대하여 한국역사 신채호 (3) 남사 열전(69) 남사 열전 69 동양역사 이연수(李延壽) (19) 북사 열전(82) 북사 권94 열전 82 동양역사 이연수(李延壽) (40) 수서 열전(46) 수서 열전 46 동양역사 위징(魏徵) (56) 쉽고 빠른 조선 역사(4) 4. 신라의 번성 근/현대 수필 최남선 (57) 신당서 열전(148) 신당서 권220 열전 제145 동이 동양역사 구양수(歐陽脩) (208) 신오대사 부록(3) 신오대사 권74 사이부록 제3 동양역사 구양수(歐陽脩) (1)
 
◈ 최근등록순
2024.09.05
005. 고깔 쓴 토우가 발견된 아주동고분군(鵝州洞古墳群)
【문화】 거제도에는 새가 날개를 펼치고 있는 모습이 있다. 오른쪽 자락 끝에 있는 아주동을 말하는 것인데, 용소 늪에 거위〔鵝〕가 서식하고 있다고 하여 아주동(鵝州洞)이라고 이름이 붙여진 것이다. 오늘도 힘찬 날갯짓하는 아주동에는 아주동고분군(巨濟 鵝州洞 古墳群)이라는 경상남도기념물 제161호가 있다.
2023.11.28
고려·조선시대 기록 속 ‘신라 문화유산’ 알아보기
【문화】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원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소장 황인호)는 올해 네 차례 기획된「시민들과 마주 앉아 나누는 신라 이야기, 대담신라(對談新羅)」의 마지막 일정을 장식하는 ‘고려·조선시대 사람들이 바라본 신라 고적’을 오는 12월 6일 오후 6시 30분, 신라월성연구센터(숭문대)에서 시민들과 함께한다.【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020.05.28
경주 적석목곽묘「쪽샘vs탑동, 적석목곽묘 전성시대」개최
【문화】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소장 이종훈)는 한국문화재재단(이사장 진옥섭)과 함께 경주 쪽샘유적과 탑동유적에서 조사된 신라 적석목곽묘 조사 성과를 종합한 ‘쪽샘 vs 탑동 : 적석목곽묘 전성시대’ 특별전을 5월 30일일부터 12월 30일까지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천존고 전시실에서 개최한다.【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019.12.18
신라와 고구려 교류를 밝힐 수 있는 금제귀걸이 출토
【문화】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의 허가를 받아 (재)화랑문화재연구원(원장 오승연)에서 발굴조사 중인 포항융합기술산업지구 진입도로구간의 포항 흥해읍 대련리 유적에서 금제굵은고리귀걸이(금제태환이식, 金製太環耳飾) 1쌍을 비롯하여 금제가는고리귀걸이(금제세환이식, 金製細環耳飾) 2쌍, 은제팔찌 1쌍 등의 장신구류와 다수의 토기가 출토되었다.【발굴제도과】
2019.10.07
【문화】   상설 체험프로그램은 어린이박물관에서 언제나 이용할 수 있으며, 초등 단체 대상 교육프로그램은 국립경주박물관 누리집( http://gyeongju.museum.go.kr)의 ‘교육·행사-교육프로그램’에서 참여 신청 할 수 있다. (※세부 내용 참고) 【교육문화교류과】
2019.10.02
【문화】 특히, 이번 전시에서는 고래, 사슴, 멧돼지 등 여러 동물과 사냥하거나 배를 탄 사람 등 다양한 그림이 가득 새겨진 반구대 암각화와 최신 실감형 디지털 콘텐츠인 프로젝션 맵핑 기법을 접목하여 암각화에 새겨진 당시 사람들의 생각과 생활일면을 보다 알기 쉽고 흥미롭게 관람객들에게 제공한다. 선사시대 사람들의 다양한 표현들을 현재 기술로 복원하여 보다 사실적으로 역사의 현장을 탐험할 수 있다. 【학예연구과】
2019.09.20
【인문】 신라사백제사 상호교류를 위한 제3회 공동 학술포럼 개최 한강 유역을 둘러싼 국제정세와 관산성 전투의 의미를 찾아 【문화유산과】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