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4월 26일 (토)
(음 3월 29일, 乙丑)
집계기준 : 2025년 4월 21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손기정(孫基禎)
•
소설(小說)
•
이상(李箱)
•
시경(詩經)
•
시조(時調)
•
용부가(庸婦歌)
•
무정(無情)
•
한국 문학(韓國文學)
•
경상 남도(慶尙南道)
•
도화원기(桃花源記)
•
최화심(崔化心)
•
사자소학(四字小學)
•
옥소전(玉簫傳)
•
통도사(通度寺)
•
오디세이아(Odysseia)
•
덕수궁(德壽宮)
•
박지원(朴趾源)
•
소학(小學)
•
여수시(麗水市)
•
이생규장전(李生窺墻傳)
▣
아미노산 (amino酸)
바로가기
단백질을 이루고 있는 기본 구성 단위 물질. 단백질이 분해될 때 생기는데, 단백질은 글리신, 발린, 류신, 메티오닌, 글루탐산 등 약 20종류의 아미노산으로 되어 있다.
지식
:
자연과학 > 생물학
단백질을 이루고 있는 기본 구성 단위 물질. 단백질이 분해될 때 생기는데, 단백질은 글리신, 발린, 류신, 메티오닌, 글루탐산 등 약 20종류의 아미노산으로 되어 있다.
음식물로서 몸 속에 들어온 단백질은 소화 효소에 의하여 아미노산으로 분해된 뒤 흡수된다. 몸 속에 섭취된 아미노산을 다시 합성하여 만들 수 있는 아미노산(비필수 아미노산)도 있으나, 발린, 메티오닌 등 10여 종류는 몸 속에서 만들어 낼 수가 없으므로 반드시 음식물로부터 섭취해야만 하는데, 이를
필수 아미노산
이라고 한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아미노산
(amino酸)
단백질
필수 아미노산
영양소
(營養素)
지방
(脂肪)
탄수화물
(炭水化物)
•
글루탐산(glutamic酸)
•
펩티드(peptide)
•
펩티드 결합
•
폴리펩티드(polypeptide)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