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4월 19일 (토)
(음 3월 22일, 戊午)
집계기준 : 2025년 4월 14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이상(李箱)
•
난중일기(亂中日記)
•
절(寺)
•
고대 소설(古代小說)
•
이고(李翶)
•
남부 아시아
•
유배 가사(流配歌辭)
•
번역소학(飜譯小學)
•
소설(小說)
•
북천가(北遷歌)
•
강도몽유록(江都夢遊錄)
•
오륜가(五倫歌)
•
통도사(通度寺)
•
덕수궁(德壽宮)
•
독도(獨島)
•
유네스코 세계유산
•
장진주사(將進酒辭)
•
관동별곡(關東別曲)
•
정지용(鄭芝溶)
•
한시(漢詩)
▣
온돌 (溫突)
바로가기
아궁이에 불을 때서 불기가 방 밑을 지나 방바닥을덥게 하는 난방 시설.
지식
:
산업 > 가정.가사
아궁이에 불을 때서 불기가 방 밑을 지나 방바닥을 덥게 하는 난방 시설. 우리 나라 고유의 난방법으로 우리 민족의 생활 습관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온돌의 원리는 열의 전도를 이용한 것인데, 방바닥 밑에 깔린 넓적한 구들장에 불기를 보내어 온도가 높아진 돌이 방출하는 열로 방을 덥게 한다. 온돌의 구조는 방고래를 만들고, 그 위에 구들장을 놓기 위한 흙과 돌로 쌓아올린 두덩을 만든다. 그 위에 두께 5~8cm 정도의 판판한 화강암으로 다듬은 구들장을 일정한 높이로 깔고, 진흙을 바른 다음 아궁이에 불을 지펴 말린다. 그 후에 새벽을 발라 완성시킨 뒤 초배를 하고, 장판하여 마무리한다.
근래에는 개량식 온돌로서 보일러 를 설치하고 방바닥에 파이프를 묻어 난방하거나, 간단한 새마을 연탄 보일러로 뜨거운 물을 순환시켜 난방하는 방식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온돌
(溫突)
•
한옥(韓屋)
◈ 최근등록순
열린보도자료의 지식창고
>
문화재청 보도자료
2023.12.22
◈
「하동 칠불사 아자방 온돌」 국가민속문화유산 지정
【문화】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에 위치한 「하동 칠불사 아자방 온돌」을 국가민속문화유산으로 지정하였다.【근대문화재과】
0
|
문화재청
,
온돌
,
하동군
,
칠불사
,
하동 칠불사 아자방 온돌
열린보도자료의 지식창고
>
문화재청 보도자료
2023.10.06
◈
「하동 칠불사 아자방 온돌」 국가민속문화유산 지정 예고
【문화】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에 위치한 「하동 칠불사 아자방 온돌」을 국가민속문화유산으로 지정 예고하였다.【근대문화재과】
0
|
문화재청
,
온돌
,
하동군
,
칠불사
,
하동 칠불사 아자방 온돌
열린보도자료의 지식창고
>
문화재청 보도자료
2020.05.11
◈
문화재청, 12개 종목 문화재수리기능자 대상 교육 시행
【문화】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12개 종목의 문화재수리기능자 교육 신청자들을 대상으로 7월 3일(금)부터 9월 21일(월)까지 실습 위주의 전통기법에 대한 교육을 시행한다.【수리기술과】
0
|
문화재청
,
대목
,
도금
,
온돌
,
한식미장
고재완의 지식창고
>
문화재·역사·전
2015.12.18
◈
따끈 따끈한 온돌방 스토리
【--】
어제에 이어 겨울철답다. 아파트에서 살고 있는 나는 추운 겨울에 따끈따끈한 온돌 아랫목에서 잘 익은 고구마를 먹던 추억을 가지고 있다. 연세 있으신 분들이 아랫목에서 지진다고 했던 온돌은 아궁이에서 불을 때면 더운 공기가 방밑을 지나 방바닥 전체를 덥게 하는 난방장치인데 전통 온돌에 대해 알아보자.
1
|
온돌
▣ 참조 동영상
(인기순, 1~10 위)
불기운을 가두는 난방, 온돌
[한국문화] (0)
전설의 구들, 칠불사 아자방
[여행 > 국내여행] (0)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