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4월 19일 (토)
(음 3월 22일, 戊午)
집계기준 : 2025년 4월 14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이상(李箱)
•
통도사(通度寺)
•
절(寺)
•
북천가(北遷歌)
•
삼국사기(三國史記)
•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
•
1292년
•
난중일기(亂中日記)
•
유네스코 세계유산
•
장진주사(將進酒辭)
•
두시 언해(杜詩諺解)
•
관동별곡(關東別曲)
•
덕수궁(德壽宮)
•
옥소전(玉簫傳)
•
독도(獨島)
•
어린이(-)
•
엔디미온(Endymion)
•
이주홍(李周洪)
•
동몽선습(童蒙先習)
•
맹호 부대(猛虎部隊)
▣
윤집 (尹集)
바로가기
[1606~1637] 조선 중기의 문신. 3학사의 한 사람으로 호는 임계(林溪), 또는 고산(高山)이고, 시호는 충정(忠貞 이다.
인물
:
인물 > 한국
[1606~1637] 조선 중기의 문신. 3학사의 한 사람으로 호는 임계(林溪), 또는 고산(高山)이고, 시호는 충정(忠貞 이다.
22세에 생원이 되고, 1631년(인조 9년)에 문과에 급제하였다.
1636년(인조 14년) 교리에 있을 때
병자호란
이 일어나자 화의를 적극 반대하였다. 후에 척화론자로 몰려 청나라에 잡혀가 갖은 고문을 받았으나 끝내 굽히지 않다가
오달재
·
홍익한
과 함께 심양의 서문 밖에서 사형 되었다.
죽은 뒤 영의정의 벼슬이 내렸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윤집
(尹集)
1606
삼학사
(三學士)
척화 주전론
1627
정묘호란
(丁卯胡亂)
삼전도
(三田渡)
1636년
1586
홍익한
(洪翼漢)
1454
남효온
(南孝溫)
1570
김상헌
(金尙憲)
1585
이경여
(李敬輿)
1588
신익성
(申翊聖)
1594
임경업
(林慶業)
1594
허계
(許啓)
1595
이명한
(李明漢)
1596
용골대
(龍骨大)
1605
신익전
(申翊全)
척화오신
마부대
(馬夫大)
1607
송시열
(宋時烈)
1609
오달제
(吳達濟)
1612
소현 세자
(昭顯世子)
1619
봉림 대군
(鳳林大君)
1623
인조
(仁祖)
산성 일기
(山城日記)
육신전
(六臣傳)
삼학사전
1636
병자호란
(丙子胡亂)
남한 산성
(南漢山城)
1639
삼전도비
(三田渡碑)
(미정의)
오달재
•
현절사(顯節祠)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