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4월 7일 (월)
(음 3월 10일, 丙午)
집계기준 : 2025년 4월 7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기재기이(企齋記異)
•
이상(李箱)
•
정진사전(鄭進士傳)
•
누정(樓亭)
•
스트라빈스키
•
동명왕편(東明王篇)
•
노자영(盧子泳)
•
변려문(騈儷文)
•
신곡(La Divina Commedia)
•
장화홍련전(薔花紅連傳)
•
구운몽(九雲夢)
•
서한문(書翰文)
•
진서(晉書)
•
바다(-)
•
김유정(金裕貞)
•
제임스 조이스
•
여수시(麗水市)
•
757년
•
성균관(成均館)
•
신광한(申光漢)
▣
을미사변 (乙未事變)
바로가기
1895년(고종 32년)에 일제가 명성황후를 살해하고 일본 세력의 강화를 꾀했던 정변.
사건
:
역사 > 한국사 > 사건
1895년
(고종 32년)에 일제가
명성황후
를 살해하고 일본 세력의 강화를 꾀했던 정변.
삼국 간섭
후 조선에서의 정치적 세력이 크게 줄어든 일본은 갖은 방법으로 그것을 만회하려 했으나,
명성황후
등 민씨 세력이 친러 정책을 고집하자 최후의 수단을 쓰기로 작정하였다.
그리하여 일본 공사
미우라
는 일본인 자객들을 앞세우고 경복궁에 침입하여 명성황후 등 친러 세력을 죽인 다음, 친일파 인물들로 내각을 꾸며
갑오개혁
후 중단되었던 개혁을 다시 단행하였다.
을미사변으로 잔인 무도한 일본의 행동은 국제적으로 여론을 크게 불러일으켰을 뿐만 아니라, 우리 국민들의 배일 감정을 극도로 자극하여 의병이 일어나는 계기가 되었다.
한편 그러한 배일 감정을 틈타 친러 세력을 더욱 키우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을미사변
(乙未事變)
1895
1894
동학 운동
(東學運動)
세도 정치
(勢道政治)
홍범 14조
X선
(X線)
1895년
19세기
(19世紀)
1890년대
1890년
1891년
1892년
1893년
1894년
1896년
1897년
1898년
1899년
1882년
1846
미우라 고로
(三浦梧樓)
1851
명성 황후
(明成皇后)
1799
민치록
(閔致祿)
1820
흥선 대원군
1830
민승호
(閔升鎬)
1842
김홍집
(金弘集)
1845
빌헬름 콘라트 뢴트겐
1854
전봉준
(全琫準)
1856
유길준
(兪吉濬)
1863
조선 고종
(高宗)
1874
마르코니
1400
의정부
(議政府)
1894
군국 기무처
1894
궁내부
(宮內府)
서유견문
천로역정
1894
갑오개혁
(甲午改革)
1895
삼국 간섭
(三國干涉)
1868
메이지 유신
1882
임오군란
(壬午軍亂)
1884
갑신정변
(甲申政變)
1894
청·일 전쟁
(淸日戰爭)
시모노세키 조약
1895
을미개혁
(乙未改革)
•
홍계훈(洪啓薰)
•
이설(李偰)
•
이범진(李範晉)
•
이강년(李康秊)
•
민영달(閔泳達)
•
김복한(金福漢)
•
조중응(趙重應)
•
이인영(李麟榮)
•
민용호(閔龍鎬)
•
단발령(斷髮令)
•
을미의병(乙未義兵)
•
경성학당(京城學堂)
•
을사의병(乙巳義兵)
•
조선 순종(純宗)
•
덕수궁(德壽宮)
•
의병(義兵)
•
장충단(-)
▣ 참조 동영상
(인기순, 1~10 위)
을미사변과 최초의 여성 의병장 윤희순 - 영상한국사 (119)
[역사 > 한국역사] (0)
을미사변과 단발령, 분노가 들끓다 - 영상한국사 (120)
[역사 > 한국역사] (0)
을미사변 – 명성황후와 대원군의 불화로 몰아간 일본의 거짓말 - 영상한국사 (077)
[역사 > 한국역사] (0)
을미사변 - 조선의 왕비, 사무라이의 칼에 목숨을 잃다 - 영상한국사 (074)
[역사 > 한국역사] (0)
을미사변을 일으킨 낭인들은 일본의 엘리트였다 - 영상한국사 (076)
[역사 > 한국역사] (0)
삼국간섭 – 을미사변 - 아관파천 - 영상한국사 (078)
[역사 > 한국역사] (0)
건양원년, 을미개혁과 상투전쟁 - 역덕이슈 오늘 (44)
[역사 > 한국역사] (0)
1895년 10월 8일, 을미사변 일어나다 - 역덕이슈 오늘 (84)
[역사 > 한국역사] (0)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