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4월 9일 (수)
(음 3월 12일, 戊申)
집계기준 : 2025년 4월 7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5교 9산(五敎九山)
•
토정비결(土亭秘訣)
•
향가(鄕歌)
•
금오신화(金鰲新話)
•
조지 버클리
•
찬기파랑가(讚耆婆郞歌)
•
서유기(西遊記)
•
이상(李箱)
•
날개(-)
•
유연(柔然)
•
아카바(al-Aqabah)
•
이광수(李光洙)
•
찰스 톰슨 리스 윌슨
•
희양산문(曦陽山門)
•
막심 고리키
•
그루지야(Gruziya)
•
가사(歌辭)
•
설악산(雪嶽山)
•
한용운(韓龍雲)
•
을지문덕전(乙支文德傳)
▣
이상룡 (李相籠)
바로가기
[1858 ~ 1932] 독립 운동가. 호는 석주(石洲)이며, 경북 안동에서 태어났다. 일제의 주권 침탈 뒤 만주로 망명하여 양기탁, 이시영 등과 신흥 강습소를 열고, 교포 자녀의 교육과 민족 사상을 불어넣기에 힘썼다. 1962년에 대한 민국 건국 공로 훈장 단장을 받았다.
인물
:
인물 > 한국
[1858 ~ 1932] 독립 운동가. 호는 석주(石洲)이며, 경북 안동에서 태어났다.
일제의 주권 침탈 뒤 만주로 망명하여
양기탁
,
이시영
등과
신흥강습소
를 열고, 교포 자녀의 교육과 민족 사상을 불어넣기에 힘썼다. 이어 계몽 단체인
부민단
을 만들고, 1919년에는
한족회
를 만들어서 동포들의 자치 활동을 도왔다. 또 군사 기관인
서로 군정서
창설에 참여하여 그 독판(督辦)이 되었으며, 1925년 대한민국임시정부 국무령에 취임하였으나 사상적 대립과 파쟁으로 사임하고 서간도에서 정의부, 참의부, 신민부의 통합운동을 지도하다 1932년 5월 길림성에서 사망했다.
1962년에 대한 민국 건국 공로 훈장 단장을 받았다.
• 선생의 구국 기념비가
달성공원
에 있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이상룡
(李相籠)
1858
한국의 독립운동
달성 공원
1904년
1907년
1912년
1926년
1868
이시영
(李始榮)
1871
양기탁
(梁起鐸)
1875
이준형
(李濬衡)
1835
이유승
(李裕承)
1842
김홍집
(金弘集)
1855
이석영
(李石榮)
1866
이회영
(李會榮)
1868
홍범도
(洪範圖)
1875
이승만
(李承晩)
1875
이호영
(李護榮)
1878
김동삼
(金東三)
1878
안창호
(安昌浩)
1888
지청천
(池靑天)
1900
이범석
(李範奭)
1906
이병화
(李炳華)
1912
부민단
(扶民團)
1919
한족회
(韓族會)
1920
서로 군정서
1920
신흥 무관 학교
1905
대한 매일 신보
1906
신민회
(新民會)
1910
경학사
(耕學社)
1919
대한민국 임시정부
1920
동아 일보
1924
참의부
(參議府)
1911
105인 사건
•
박상진(朴尙鎭)
•
민족주의 사학
◈ 최근등록순
열린보도자료의 지식창고
>
경상북도 보도자료
2019.08.05
◈
④ ‘석주 이상룡’독립운동 일대기 무대에 오른다
【문화】
3.1운동 및 대한민국임시정부수립 100주년 기념 창작오페라 ‘석주 이상룡’, 8.10.안동예술의전당, 8.15서울 한국방송공사(KBS)홀, 총 4회 공연 【문화예술과】
0
|
경상북도
,
이상룡
열린보도자료의 지식창고
>
국가보훈처
2018.08.13
◈
배화여학교 6인의 소녀들, 98년만에 독립운동 인정받다
【--】
▶ 광복절계기(73주년) 독립유공자 177명 포상, 올해부터 독립유공자 포상 심사기준 개선해 177명 중 65명(36.7%)이 개선안으로 포상되어 여성,무명 의병 등 발굴·포상 사각지대 해소【공훈발굴과 - 강대원 (044-202-5456)】
0
|
국가보훈처
,
이상룡
,
이회영
,
배화여학교
,
이은숙
▣ 참조 동영상
(인기순, 1~10 위)
안동 임청각(보물 제182호) 보수, 정비 계획
[보도] (0)
이상룡 (문재인 대통령) - 나의 독립 영웅 (32)
[역사 > 한국역사] (0)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