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4월 19일 (토)
(음 3월 22일, 戊午)
집계기준 : 2025년 4월 14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이상(李箱)
•
절(寺)
•
삼국사기(三國史記)
•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
•
통도사(通度寺)
•
북천가(北遷歌)
•
소설(小說)
•
난중일기(亂中日記)
•
1292년
•
이고(李翶)
•
장진주사(將進酒辭)
•
독도(獨島)
•
유네스코 세계유산
•
강도몽유록(江都夢遊錄)
•
관동별곡(關東別曲)
•
두시 언해(杜詩諺解)
•
덕수궁(德壽宮)
•
어린이(-)
•
엔디미온(Endymion)
•
이주홍(李周洪)
▣
이조년 (李兆年)
바로가기
[1269 ~ 1343] 고려 시대의 문신·학자. 호는 매운당(梅雲堂)·백화헌(百花軒)이고, 시호는 문열(文烈)이다. 1294년(충렬왕 20년) 문과에 급제한 뒤 여러 벼슬을 지냈다. 시문에 뛰어났으며, 시조 1수가 전한다.
인물
:
인물 > 한국
[1269 ~ 1343] 고려 시대의 문신·학자. 호는 매운당(梅雲堂)·백화헌(百花軒)이고, 시호는 문열(文烈)이다. 1294년(충렬왕 20년) 문과에 급제한 뒤 여러 벼슬을 지냈다.
1306년 비서승때 왕유소 등이
충렬왕
부자를 이간, 이에 연루되어 귀양갔다. 그 뒤 풀려나와 13년 동안 고향에 묻혀 살다가 1330년에
충숙왕
이 원나라에서 돌아오자 감찰 장령에 임명되었다.
1340년에
충혜왕
이 복위하자 예문관 대제학이 되어 성산군에 봉해졌다.
왕의 문란한 정치를 여러 번 충고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아 벼슬에서 물러났다.
시문에 뛰어났으며, 시조 1수가 전한다.
시조
이화(梨化)에 월백(月白)하고 은한(銀漢)은 삼경(三更)인 제
일지춘심(一枝春心)을 자규(子規)야 알랴마는
다정(多情)도 병(病)인 양 하여 잠 못 들어 하노라.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이조년
(李兆年)
1269
1323
이포
(李褒)
1338
이인임
(李仁任)
1330
이인민
(李仁敏)
1243
안향
(安珦)
1388년
1364년
1359년
1343년
1339년
1304년
1294년
1296년
1298년
1299년
1288년
1270년
1275년
1277년
1260년
918
고려
(高麗)
1274
충렬왕
(忠烈王)
1294
충숙왕
(忠肅王)
1315
충혜왕
(忠惠王)
1211
유경
(柳璥)
1233
이존비
(李尊庇)
1242
홍규
(洪奎)
1244
이진
(李瑱)
1247
백이정
(白頤正)
1259
고려 원종
(元宗)
1259
제국 대장 공주
1260
쿠빌라이 칸
1262
권부
(權溥)
1263
우탁
(禹倬)
1269
복국장공주
백원항
(白元恒)
1275
충선왕
(忠宣王)
1289
신천
(辛蕆)
1298
공원왕후
(恭元王后)
1316
최영
(崔瑩)
1321
신돈
(辛旽)
1325
덕녕공주
1344
충목왕
(忠穆王)
1349
이숭인
(李崇仁)
1351
공민왕
(恭愍王)
1362
이직
(李稷)
1375
우왕
(禑王)
1392
조선 태조
(太祖)
1280
정동행성
1339
조적의 난
종계 변무
일본원정
1543
소수 서원
(紹修書院)
•
조적(曺頔)
•
이인보(李仁復)
•
이제(李濟)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다정가
多情歌
시조
이조년
(71)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