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2월 5일 (수)
(음 1월 8일, 乙巳)
집계기준 : 2025년 2월 3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훈민정음해례
•
숙향전(淑香傳)
•
파주시(坡州市)
•
송시열(宋時烈)
•
동학 가사(東學歌辭)
•
고흥군(高興郡)
•
광조사(廣照寺)
•
춘향전(春香傳)
•
경기체가(景幾體歌)
•
수미산문(須彌山門)
•
용궁부연록(龍宮赴宴錄)
•
대한민국 해병대
•
안조환(安肇煥)
•
이상의 집
•
시경(詩經)
•
무학 대사(無學大師)
•
소학(小學)
•
신윤복(申潤福)
•
동의보감(東醫寶鑑)
•
소설인규옥소선
▣
이조년 (李兆年)
[1269 ~ 1343] 고려 시대의 문신·학자. 호는 매운당(梅雲堂)·백화헌(百花軒)이고, 시호는 문열(文烈)이다. 1294년(충렬왕 20년) 문과에 급제한 뒤 여러 벼슬을 지냈다. 시문에 뛰어났으며, 시조 1수가 전한다.
[1269 ~ 1343] 고려 시대의 문신·학자. 호는 매운당(梅雲堂)·백화헌(百花軒)이고, 시호는 문열(文烈)이다. 1294년(충렬왕 20년) 문과에 급제한 뒤 여러 벼슬을 지냈다.
1306년 비서승때 왕유소 등이
충렬왕
부자를 이간, 이에 연루되어 귀양갔다. 그 뒤 풀려나와 13년 동안 고향에 묻혀 살다가 1330년에
충숙왕
이 원나라에서 돌아오자 감찰 장령에 임명되었다.
1340년에
충혜왕
이 복위하자 예문관 대제학이 되어 성산군에 봉해졌다.
왕의 문란한 정치를 여러 번 충고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아 벼슬에서 물러났다.
시문에 뛰어났으며, 시조 1수가 전한다.
시조
이화(梨化)에 월백(月白)하고 은한(銀漢)은 삼경(三更)인 제
일지춘심(一枝春心)을 자규(子規)야 알랴마는
다정(多情)도 병(病)인 양 하여 잠 못 들어 하노라.
[숨기기]
◈ 지식지도
비교
이조년
(李兆年)
1269
주자학
(朱子學)
918
고려
(高麗)
1343년
1339년
1304년
1294년
1296년
1298년
1299년
1288년
1270년
1275년
1277년
1260년
1362
이직
(李稷)
1315
충혜왕
(忠惠王)
1294
충숙왕
(忠肅王)
1274
충렬왕
(忠烈王)
1243
안향
(安珦)
14c초
경화공주
1344
충목왕
(忠穆王)
1325
덕녕공주
1298
공원왕후
(恭元王后)
1295
왕고
(王暠)
1289
조적
(曺頔)
1289
신천
(辛蕆)
1288
홍빈
(洪彬)
1275
충선왕
(忠宣王)
1269
복국장공주
백원항
(白元恒)
1265
안우기
(安于器)
1263
우탁
(禹倬)
1262
권부
(權溥)
1260
쿠빌라이 칸
1259
제국 대장 공주
1247
백이정
(白頤正)
1244
이진
(李瑱)
1242
홍규
(洪奎)
1233
이존비
(李尊庇)
1220
안부
(安孚)
1211
유경
(柳璥)
1650
임강서원
1280
정동행성
1339
조적의 난
일본원정
1543
소수 서원
(紹修書院)
안자묘
(安子廟)
•
이인임(李仁任)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다정가
多情歌
시조
이조년
(34)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