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그외 관심 원문 :   
【오늘】 2025년 4월 5일 (토) (음 3월 8일, 甲辰) 집계기준 : 2025년 3월 31일
인식론 (認識論)
지식의 기원·구조·한계 등을 연구하는 철학의 한 분야. 데카르트· 스피노자· 라이프니츠의 합리론, 로크· 버클리·흄의 경험론, 칸트의 비판주의 등이 모두 인식론에 속한다.
인식론 (認識論) 지식의 기원·구조·한계 등을 연구하는 철학의 한 분야. 데카르트· 스피노자· 라이프니츠합리론, 로크· 버클리·의 경험론, 칸트비판주의 등이 모두 인식론에 속한다. 고대의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를 비롯하여 스토아 학파, 에피쿠로스 학파, 신플라톤 학파 중세에 들어와서는 아우구스티누스스콜라 철학에서 일부 이러한 탐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고대와 중세의 인식론적 연구는 형이상학 이나 신학의 한 요소에 불과한 것이었으며, 실질적인 인식론 은 로크칸트에 와서야 철학의 한 분야로서 자리를 굳혔다. 로크의 《인간 오성론》(1690), 칸트의 《순수 이성 비판》(1781) 퍼어스· 제임스· 듀이의 실용주의와 변증법적 유물론에 있어서의 인식론, 훗설의 현상학 등은 합리론· 경험론 등의 인식론과는 별개의 것이다.
◈ 지식지도 관계
인식론 (認識論) 경험 (經驗) 경험론 (經驗論) 스콜라 철학 스토아 학파 실용주의 (實用主義) 에피쿠로스 학파 이성 (理性) 지식 (知識) 철학 (哲學) 합리론 (合理論) 신플라톤주의 변증법적 유물론 계몽주의 (啓蒙主義) 고대 그리스 그리스 철학 기하학 (幾何學) 대수학 (代數學) 미적분학 (微積分學) 변증법 (辨證法) 수학 (數學) 실존주의 (實存主義) 아리스토텔레스 학파 유물론 종교 개혁 (宗敎改革) 중국 철학 중세 철학 (中世哲學) 칸트-라플라스의 성운설 해석 기하학 현대철학 1781년 -384 아리스토텔레스 -427 플라톤 (Platon) 1596 르네 데카르트 1632 존 로크 1632 스피노자 1646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 1685 조지 버클리 1711 데이비드 흄 1724 이마누엘 칸트 1842 읠리엄 제임스 1859 존 듀이 1859 에드문트 후설 354 아우구스티누스 -336 알렉산드로스 3세 -373 테오프라스토스 -431 크세노폰 (Xenophon) -470 소크라테스 (Socrates) 1225 토마스 아퀴나스 1285 윌리엄 오컴 15 세네카 1629 호이겐스 1806 존 스튜어트 밀 1820 프리드리히 엥겔스 1889 마르틴 하이데거 1908 모리스 메를로퐁티 1781 순수 이성 비판 시학 (아리스토텔레스) 수사학 파이돈 (Phaedo) 1637 방법 서설 1790 판단력 비판 1618 30년 전쟁 (미정의) 비판주의 (미정의) 인간오성론 (미정의) 퍼어스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