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4월 10일 (목)
(음 3월 13일, 己酉)
집계기준 : 2025년 4월 7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전우치전(田禹治傳)
•
이상(李箱)
•
5교 9산(五敎九山)
•
시경(詩經)
•
정극인(丁克仁)
•
강도몽유록(江都夢遊錄)
•
가사(歌辭)
•
채만식(蔡萬植)
•
염상섭(廉想涉)
•
정진사전(鄭進士傳)
•
태평천하(太平天下)
•
오감도(烏瞰圖)
•
무정(無情)
•
어부가(漁父歌)
•
오륜가(五倫歌)
•
날개(-)
•
현진건(玄鎭健)
•
한양도성(漢陽都城)
•
아카바(al-Aqabah)
•
옥루몽(玉樓夢)
▣
임병찬 (林秉瓚)
바로가기
[1851 ~ 1916] 구한국 말의 의병장. 호는 돈헌이며, 전북 옥구 태생이다. 1962년에 대한 민국 건국 공로 훈장 단장을 받았다.
인물
:
인물 > 한국
[1851 ~ 1916] 구한국 말의 의병장. 호는 돈헌이며, 전북 옥구 태생이다.
1889년에 첨지중추부사 겸 오위장이 되고,
1905년
에
을사늑약
이 체결되자 의병 200여 명을 모아 전북 순창에서 왜병과 싸우다가 잡혀 일본
쓰시마섬
으로 끌려갔다.
2년 만에 풀려나자 1910년에 다시 독립 의군부 전라 남도 순무대장으로 항일 투쟁을 벌였다. 1914년에 일본 경찰에 잡혀 거문도로 유배되자, 단식 끝에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1962년에 대한 민국 건국 공로 훈장 단장을 받았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임병찬
(林秉瓚)
1851
의병
(義兵)
700 의사
(七百義士)
1860
천도교
(天道敎)
쓰시마섬
산토도밍고
1905년
20세기
(20世紀)
1900년대
1900년
1901년
1902년
1903년
1904년
1906년
1907년
1908년
1909년
1913년
1897
대한 제국
(大韓帝國)
1520
휴정
(休靜)
1533
고경명
(高敬命)
1537
김천일
(金千鎰)
1542
영규
(靈圭)
1544
유정
(惟政)
1544
조헌
(趙憲)
1552
곽재우
(郭再祐)
1565
정문부
(鄭文孚)
1833
최익현
(崔益鉉)
1841
이토 히로부미
(伊藤博文)
1842
유인석
(柳麟錫)
1854
이용익
(李容翊)
1854
권중현
(權重顯)
1856
신돌석
(申乭石)
1858
박제순
(朴齊純)
1858
이완용
(李完用)
1860
하야시 곤스케
(林権助)
1861
민종식
(閔宗植)
1861
손병희
(孫秉熙)
1864
이재극
(李載克)
1865
이근택
(李根澤)
1870
이지용
(李址鎔)
1880
한규설
(韓圭卨)
1913
대한 독립 의군부
대한 적십자사
1905
통감부
(統監府)
1905
을사늑약
(乙巳勒約)
1895
을미사변
(乙未事變)
1904
러·일 전쟁
(--日戰爭)
1905
가쓰라·태프트 밀약
1905
모로코 사건
1905
포츠머스 조약
•
문석환(文奭煥)
•
이칙(李侙)
•
을사의병(乙巳義兵)
•
대마도일기(對馬島日記)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 참조 원문/전문
마도일기 (1907년)
馬島日記
개인기록물
문석환 의사
(48)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