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4월 5일 (토)
(음 3월 8일, 甲辰)
집계기준 : 2025년 3월 31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이상(李箱)
•
광통관(廣通館)
•
날개(-)
•
무정(無情)
•
허생전(許生傳)
•
신윤복(申潤福)
•
정진사전(鄭進士傳)
•
현대 소설(現代小說)
•
박유전(朴裕全)
•
시경(詩經)
•
이날치(李捺致)
•
호질(虎叱)
•
용부가(庸婦歌)
•
김유정(金裕貞)
•
허브드 주(Khovd)
•
바다(-)
•
황조가(黃鳥歌)
•
김장생(金長生)
•
정지용(鄭芝溶)
•
우므느고비 주
▣
임춘 (林椿)
바로가기
[? ~ ?] 고려 시대의 문신. 예천 임씨의 시조이다. 한문과 당시(唐詩)에 능했고, 이인로가 그의 유고를 모아 《서하선생집》 6권을 엮었다. 두 편의 가전체 소설 《국순전》 《공방전》이 전한다.
인물
:
인물 > 한국
[? ~ ?] 고려 시대의 문신.
예천 임씨
의 시조이다.
자 기지(耆之). 서하(西河)에서 태어났으며,
1170년
(의종 24년)
정중부의 난
때에는 간신히 목숨을 건졌다.
이인로
,
오세재
등과 함께 강좌 7현(江左七賢)의 한 사람으로 시와 술로 세월을 보냈다.
한문과 당시(唐詩)에 능했고,
이인로
가 그의 유고를 모아 《
서하선생집
》 6권을 엮었다. '삼한시귀감(三韓詩龜鑑)'에 시문(詩文)이 기록되어 있고, 두 편의 가전체 소설 《
국순전
》 《
공방전
》이 전한다.
예천
옥천정사(玉川精舍)
에 제향되었있다.
[숨기기]
임춘
(林椿)
[? ~ ?] 고려 시대의 문신. 예천 임씨의 시조.
자 기지(耆之).
서하(西河)에서 태어났으며,
1170년(의종 24년) 정중부의 난 때에는 간신히 목숨을 건졌다.
이인로
,
오세재
등과 함께
강좌 7현(江左七賢)
의 한 사람
한문과 당시(唐詩)에 능했고,
이인로가 그의 유고를 모아 《
서하선생집
》 6권을 엮었다.
'삼한시귀감(三韓詩龜鑑)'에 시문(詩文)이 기록되어 있고,
두 편의 가전체 소설 《
국순전
》 《
공방전
》이 전한다.
예천
옥천정사(玉川精舍)
에 제향되었있다.
◈ 지식지도
관계
임춘
(林椿)
죽림고회
(竹林高會)
가전체 문학
고대 소설
(古代小說)
죽림7현
(竹林七賢)
여진 정벌
1170
무신 정권
(武臣政權)
1170년
12세기
1170년대
1222년
1180년
1185년
1171년
1172년
1173년
1174년
1175년
1176년
1177년
1178년
1179년
1169년
1135년
1133
오세재
(吳世才)
1152
이인로
(李仁老)
각훈
(覺訓)
황보항
(皇甫抗)
함순
(咸淳)
1105
예종
(睿宗)
1106
정중부
(鄭仲夫)
1119
김돈중
(金敦中)
1123
고려 인종
(仁宗)
1146
고려 의종
(毅宗)
1154
경대승
(慶大升)
1168
이규보
(李奎報)
1170
명종
(明宗)
1188
최자
(崔滋)
12C초
이의방
(李義方)
772
이고
(李翶)
공방전
(孔方傳)
국순전
(麴醇傳)
서하선생집
국선생전
(麴先生傳)
동문선
(東文選)
1254
보한집
(補閑集)
1260
파한집
(破閑集)
1170
정중부의 난
1135
묘청의 난
(妙淸--亂)
1170
경계의 난
1170
무신의 난
(武臣--亂)
1173
김보당의 난
(미정의)
예천임씨
(미정의)
옥천정사
•
조통(趙通)
•
이담지(李湛之)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공방전
孔方傳
고전 소설
임춘
(168)
국순전
麴醇傳
고전 소설
임춘
(92)
동행기
東行記
고전 수필
임춘(林椿)
(4)
◈ 최근등록순
가담항설의지식창고
>
파주시 전설과 설화
2024.10.06
◈
감악산에 얽힌 전설
【문화】
이 산은 옛날 경기 오악(松岳, 紺岳, 雲岳, 北岳, 冠岳)중에 하나로서 감악사(紺嶽寺), 신암사(神岩寺), 운계사(雲溪寺)등이 있었고 정상에 산신과 설인귀(薛仁貴)를 모시고 제사지냈다는 감악사(紺嶽祀)가 있었다 한다. 고려시인 임춘(林春)은 감악산의 형상을 잘 표현한 시를 소개하기로 한다.
5 (+1)
|
설화
,
임춘
,
파주시
,
감악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