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4월 7일 (월)
(음 3월 10일, 丙午)
집계기준 : 2025년 4월 7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기재기이(企齋記異)
•
이상(李箱)
•
대한 민국(大韓民國)
•
누정(樓亭)
•
정진사전(鄭進士傳)
•
스트라빈스키
•
만언사(萬言詞)
•
동명왕편(東明王篇)
•
변려문(騈儷文)
•
장화홍련전(薔花紅連傳)
•
신곡(La Divina Commedia)
•
서한문(書翰文)
•
태평천하(太平天下)
•
김유정(金裕貞)
•
여수시(麗水市)
•
연가 칠년명 금동 여래 입상
•
진서(晉書)
•
국립서울현충원
•
자전거 도둑
•
심약(沈約)
▣
재령 평야 (載寧平野)
바로가기
황해도 북서부에 있는 재령강 유역의 평야. 나무리벌 또는 극성 평야라고도 한다.
지역
:
지역 > 한국
황해도
북서부에 있는 재령강 유역의 평야. 나무리벌 또는 극성평야라고도 한다.
안악군
과
봉산군
,
신천군
,
재령군
등에 걸쳐 펼쳐져 있는 대평야로 관서 지방의 곡창이었다. 특히 쌀의 질이 좋기로 이름나 있었으며, 밭곡식 및 담배와 사과 등이 많이 났다.
주변 구릉 지대에서는 철, 아연, 형석 등의 광물이 산출되었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재령 평야
(載寧平野)
평야
(平野)
구조 평야
삼각주 평야
침식 평야
퇴적 평야
해성 퇴적 평야
봉산군
(鳳山郡)
신천군
(信川郡)
안악군
(安岳郡)
재령군
(載寧郡)
황해도
(黃海道)
간토 평야
경기 평야
경남 평야
김제 평야
김포 평야
김해 평야
나주 평야
논산 평야
미티자 평야
박천 평야
센다이 평야
수성 평야
안성 평야
안주 평야
연백 평야
예당 평야
온천 평야
용천 평야
용흥 평야
정주 평야
철원 평야
충적 평야
평양 평야
함흥 평야
호남 평야
(湖南平野)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