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4월 12일 (토)
(음 3월 15일, 辛亥)
집계기준 : 2025년 4월 7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명량 해전(鳴梁海戰)
•
이상(李箱)
•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
•
삼국지(三國志)
•
난중일기(亂中日記)
•
논어집주(論語集註)
•
소학(小學)
•
만분가(萬憤歌)
•
광염소나타(狂炎sonata)
•
동백꽃( )
•
고전 문학(古典文學)
•
안목(安牧)
•
최백(崔白)
•
경기도(京畿道)
•
서한문(書翰文)
•
쿠샨 왕조(Kushan王朝)
•
영산재(靈山齋)
•
김상용(金尙容)
•
춘추공양전(春秋公羊傳)
•
나옹(懶翁)
▣
정제두 (鄭齊斗)
바로가기
[1649 ~ 1736] 조선 중기의 학자. 자는 사앙(士仰)이고, 호는 하곡(霞谷)이다.
인물
:
인물 > 한국
[1649 ~ 1736] 조선 중기의 학자. 자는 사앙(士仰)이고, 호는 하곡(霞谷)이다.
학덕이 높아 중신들의 천거로 경종 때 대사헌, 이조 참판, 영조 때 우찬성 등을 잠시 지냈을 뿐 오로지 학문 연구에만 몰두했다.
이론에만 치우친 주자학에 반기를 들고 지식과 행동의 통일을 주장하는
양명학
에 심취하여, 최초로 그 사상적 체계를 완성했다. (
강화학파
)
저서에는 《성학설》 《경학집요》 등이 있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정제두
(鄭齊斗)
1649
1631
박세채
(朴世采)
1629
윤증
(尹拯)
1701
이광명
(李匡明)
1705
이광사
(李匡師)
양명학
(陽明學)
강화학파
(江華學派)
1575
서인
(西人)
노론
(老論)
소론
(少論)
예학
(禮學)
유교
(儒敎)
주자학
(朱子學)
강화군
(江華郡)
1775년
1683년
1472
왕양명
(王陽明)
1501
이황
(李滉)
1542
류성룡
(柳成籠)
1570
김상헌
(金尙憲)
1574
김집
(金集)
1586
최명길
(崔鳴吉)
1588
장유
(張維)
1607
송시열
(宋時烈)
1610
윤선거
(尹宣擧)
1638
나양좌
(羅良佐)
김세필
(金世弼)
남언경
(南彦經)
1669
이진유
(李眞儒)
1680
윤순
(尹淳)
1681
이익
(李瀷)
1731
이종휘
(李鍾徽)
1736
이긍익
(李肯翊)
1740
이영익
(李令翊)
1773
유희
(柳僖)
1852
이건창
(李建昌)
1859
박은식
(朴殷植)
1866
이회영
(李會榮)
1869
이동녕
(李東寧)
1892
정인보
(鄭寅普)
산천재서원
전습록
(傳習錄)
이광사 초상
회니 시비
(懷尼是非)
임술 삼고변
북찬가
(北竄歌)
•
정동유(鄭東愈)
•
신작(申綽)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