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4월 5일 (토)
(음 3월 8일, 甲辰)
집계기준 : 2025년 3월 31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이상(李箱)
•
광통관(廣通館)
•
날개(-)
•
시경(詩經)
•
허생전(許生傳)
•
신윤복(申潤福)
•
정진사전(鄭進士傳)
•
이날치(李捺致)
•
용부가(庸婦歌)
•
무정(無情)
•
현대 소설(現代小說)
•
담양군(潭陽郡)
•
박유전(朴裕全)
•
대학(大學)
•
호질(虎叱)
•
허브드 주(Khovd)
•
김유정(金裕貞)
•
바다(-)
•
황조가(黃鳥歌)
•
정지용(鄭芝溶)
▣
정호 (程顥)
바로가기
[1032 ~ 1085] 중국 북송 때의 철학자, 유학자. 호는 명도이다. 그의 사상은 주자에게 큰 영향을 미쳐 송나라 새 유학의 기초가 되었으며, 정주학의 핵심을 이루었다.
인물
:
인물 > 외국
[1032 ~ 1085] 중국 북송 때의 철학자, 유학자. 호는 명도이다.
허난성의 뤄양 출신으로, 아우
이천
과 함께 송학의 시조
주돈이
에게서 배워 학통을 계승 발전시켰다.
그는 우주의 요소를 ‘이(理)와 기(氣)’의 둘로 보고, 만물이 생성 변화하는 것을 ‘이’라 하였다.
그리고 인성에 있어서는 선과 악이 본질적으로 다른 것이 아니라, 오로지 마음의 자세와 수양에 달렸다 하여 수양론을 주장하였다.
그의 사상은 주자에게 큰 영향을 미쳐 송나라 새 유학의 기초가 되었으며,
정주학
의 핵심을 이루었다.
저서에 《
정성서
》 《
식인편
》 등이 있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정호
(程顥)
1032
유가
(儒家)
유교
(儒敎)
정주학
(程朱學)
주자학
(朱子學)
도가
(道家)
서원
(書院)
성리학
(性理學)
어록
(語錄)
역전
(驛田)
제자 백가
(諸子百家)
중국 철학
향약
(鄕約)
훈고학
(訓詁學)
기
(氣)
이
(理)
992년
372년
285년
1017
주돈이
(周敦燎)
1033
정이
(程伊)
-179
동중서
(董仲舒)
-315
순자
(荀子)
-372
맹자
(孟子)
-483
자사
(子思)
-505
증자
(曾子)
-521
안회
(顔回)
-551
공자
(孔子)
1011
소옹
(邵雍)
1020
장재
(張載)
나종언
(羅從彦)
1130
주희
(朱熹)
1243
안향
(安珦)
1328
이색
(李穡)
1337
정도전
(鄭道傳)
1337
정몽주
(鄭夢周)
1346
조준
(趙浚)
1349
이숭인
(李崇仁)
1353
길재
(吉再)
1472
왕양명
(王陽明)
1501
이황
(李滉)
1536
이이
(李珥)
4C
왕인
(王仁)
857
최치원
(崔致遠)
984
최충
(崔沖)
국자감
(國子監)
태학
(太學)
사서 삼경
(四書三經)
주자가례
(朱子家禮)
유교 경전
(미정의)
식인편
(미정의)
정성서
•
양시(楊時)
•
호굉(胡宏)
•
근사록(近思錄)
•
정자(程子)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 참조 원문/전문
송사 열전(186)
송사 권 427 열전 제 186
동양역사
탁극탁(托克托)
(256)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