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4월 7일 (월)
(음 3월 10일, 丙午)
집계기준 : 2025년 4월 7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이상(李箱)
•
기재기이(企齋記異)
•
고려 가요(高麗歌謠)
•
통도사(通度寺)
•
중용(中庸)
•
정진사전(鄭進士傳)
•
전우치전(田禹治傳)
•
박태원(朴泰遠)
•
스트라빈스키
•
절벽(絶壁)
•
구운몽(九雲夢)
•
사서 삼경(四書三經)
•
누정(樓亭)
•
몽골([蒙古])
•
김기림(金起林)
•
서한문(書翰文)
•
사모곡(思母曲)
•
유배 가사(流配歌辭)
•
헤라클레스(Hercules)
•
조선 고종(高宗)
▣
중인 (中人)
바로가기
조선 시대에 있었던 양반 다음 가는 신분 계급. 서울의 중앙부에 살았기 때문에 중인이라고 한다.
지식
:
역사 > 한국사 > 제도
조선 시대에 있었던 양반 다음 가는 신분 계급. 서울의 중앙부에 살았기 때문에 중인이라고 한다.
주로 의학, 통역, 법률, 천문, 그림 등의 기술직에서 일하였으며, 벼슬은 제한되어 있었지만 군역과 부역의 의무는 면제되었다.
이들은 자기들끼리만 결혼하여 그들의 기술과 관직을 세습하였는데, 그들이 맡은 일이 사회적으로 중요한 데 비해 출세하는 제한이 많았으므로, 혁신적 기운이 강해 근대 이후의 사회 변화에 큰 구실을 하였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중인
(中人)
•
임준원(林俊元)
•
장지완(張之琬)
•
김수팽(金壽彭)
•
김근행(金謹行)
•
변승업(卞承業)
•
정내교(鄭來僑)
•
정민교(鄭敏僑)
•
마성린(馬聖麟,)
•
김범우(金範禹)
•
범경문(范慶文)
•
이언진(李彦瑱)
•
조수삼(趙秀三)
•
이상적(李商迪)
•
오응현(吳膺賢)
•
오경석(吳慶錫)
•
유홍기(劉洪基)
•
변진환(邊晉桓)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