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4월 6일 (일)
(음 3월 9일, 乙巳 )
집계기준 : 2025년 3월 31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이상(李箱)
•
무정(無情)
•
심청전(沈淸傳)
•
나겔점(Nagel點)
•
청산별곡(靑山別曲)
•
신윤복(申潤福)
•
현대 소설(現代小說)
•
고전 문학(古典文學)
•
날개(-)
•
권섭(權燮)
•
연행가(燕行歌)
•
E.B. 타일러
•
이생규장전(李生窺墻傳)
•
장화홍련전(薔花紅連傳)
•
신흠(申欽)
•
논어집주(論語集註)
•
애니미즘(Animism)
•
계축일기(癸丑日記)
•
몽골([蒙古])
•
지킬 박사와 하이드
▣
척준경 (拓俊京)
바로가기
[? ~ 1144] 고려의 무신.
인물
:
인물 > 한국
[? ~ 1144] 고려의 무신.
계림공(숙종)의 종자(從者)로 있다가 추밀원 별가가 되었다.
1104년
(숙종 9년) 이래 여러 차례 동여진 정벌에 참가하여 공을 세워 벼슬이 거듭 올라 이부상서, 참지정사를 거쳐 문하 시랑 평장사에 이르렀다.
1126년
(인종 4년)에
이자겸
과 함께 인종을 몰아 내려고 군사를 이끌고 대궐로 들어갔다가 왕의 타이름을 듣고 도리어 이자겸을 잡아 귀양 보내어 그 공으로 문하 시중에 올랐다.
뒤에 대궐 침범 사실을 규탄받고,
정지상
에 의해 귀양갔다가 풀려나서 다시 벼슬길에 올랐으나 얼마 뒤 공주에서 병으로 죽었다.
1104년(숙종 9)부터 1109년까지
윤관
,
오연총
,
왕자지
등과 함께 함경도에 침입한 여진족을 몰아내고
동북 9성
을 쌓는데 기여하였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척준경
(拓俊京)
1094
동북 9성
강동 6주
여진족
(女眞族)
여진 정벌
파평 윤씨
1126년
1104년
12세기
1100년대
1120년대
1135년
1120년
1121년
1122년
1123년
1124년
1125년
1127년
1128년
1129년
1100년
1101년
1102년
1103년
1105년
1106년
1107년
1108년
1109년
1115
금
(金)
960
송
(宋)
1055
오연총
(吳延寵)
1061
윤관
(尹瓘)
1085
정지상
(鄭知常)
11c말
이자겸
(李資謙)
1010
고려 현종
(顯宗)
1075
김부식
(金富軾)
1082
휘종
(徽宗)
1085
묘청
(妙淸)
1085
백수한
(白壽翰)
윤언인
(尹彦仁)
1105
예종
(睿宗)
1123
고려 인종
(仁宗)
1125
흠종
(欽宗)
11c말
이자량
(李資諒)
11c초
이자연
(李子淵)
1126
이자겸의 난
1126
정강의 변
(靖康--變)
1135
묘청의 난
(妙淸--亂)
윤관 장군 묘
(미정의)
왕자지
•
이지미(李之美)
•
최사전(崔思全)
•
김부일(金富佾)
•
김안(金安)
▣ 참조 동영상
(인기순, 1~10 위)
이자겸의 난 이후의 처리 - 영상한국사 (041)
[역사 > 한국역사] (0)
인종, 이자겸과 척준경의 갈등을 이용하다 - 영상한국사 (040)
[역사 > 한국역사] (0)
이자겸, 외손자 인종에게 기습을 당하다 - 영상한국사 (037)
[역사 > 한국역사] (0)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