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4월 8일 (화)
(음 3월 11일, 丁未)
집계기준 : 2025년 4월 7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이상(李箱)
•
고려 가요(高麗歌謠)
•
정진사전(鄭進士傳)
•
절벽(絶壁)
•
이생규장전(李生窺墻傳)
•
금오신화(金鰲新話)
•
김기림(金起林)
•
오륜가(五倫歌)
•
사모곡(思母曲)
•
헤라클레스(Hercules)
•
5교 9산(五敎九山)
•
최고운전(崔孤雲傳)
•
호르텐시우스법
•
미오겐(myogen)
•
이하윤(李河潤)
•
정과정곡(鄭瓜亭曲)
•
요들송(Jodel Song)
•
불상(佛像)
•
찬기파랑가(讚耆婆郞歌)
•
미스터 방( )
▣
박태보 (朴泰輔)
바로가기
[1654 ~ 1689]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으로, 자는 사원(士元), 호는 정재(定齋), 본관은 반남(潘南)이다. 박세당의 아들로 박세후에게 입양되었다.
인물
:
[1654 ~ 1689]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으로, 자는 사원(士元), 호는 정재(定齋), 본관은 반남(潘南)이다.
박세당
의 아들로 박세후에게 입양되었다.
조선 숙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전적을 지냈다. 예조좌랑으로 있을 때 남인의 모함을 받아 선천에 귀양갔다가 복직되었다. 성품이 결백하여 아부를 하지 않았으므로 시기하는 자가 많았으나, 왕의 총애를 받았다. 이조좌랑으로 암행어사가 되어 호남 지방을 시찰할 때 폐단을 시정하여 백성들로부터 존경을 받았다.
1689년
기사환국
때에 서인으로
인현왕후
의 폐위를 반대하다가 숙종의 노여움을 사 심한 고문을 받고 진도로 귀양가는 도중 노량진에서 죽었다.
숙종은 후회를 하고 이조판서에 추증하였다. 그 뒤 다시 영의정으로 가증되고 문열(文烈)이라 시호가 내려진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박태보
(朴泰輔)
1654
1629
박세당
(朴世堂)
1575
서인
(西人)
1575
동인
(東人)
1591
남인
(南人)
노론
(老論)
사색 당파
(四色黨派)
서원
(書院)
성리학
(性理學)
소론
(少論)
환국
(換局)
1674
예송 논쟁
(禮訟論爭)
의정부시
(議政府市)
1712년
1694년
1680년
1689년
1575년
1667
인현 왕후
(仁顯王后)
1674
조선 숙종
(肅宗)
1533
윤두수
(尹斗壽)
1535
심의겸
(沈義謙)
1536
정철
(鄭澈)
1595
허목
(許穆)
1607
송시열
(宋時烈)
1610
허적
(許積)
1629
김수항
(金壽恒)
1629
남구만
(南九萬)
1629
윤증
(尹拯)
1630
민유중
(閔維重)
1631
박세채
(朴世采)
1634
김석주
(金錫胄)
1641
권상하
(權尙夏)
1646
최석정
(崔錫鼎)
1648
김창집
(金昌集)
1649
김구
(金構)
1651
희빈 장씨
1658
이이명
(李頤命)
1659
조선 현종
(顯宗)
1659
민진후
(閔鎭厚)
1660
조태채
(趙泰采)
1664
민진원
(閔鎭遠)
1720
조선 경종
(景宗)
1724
영조
(英祖)
1491
대전속록
(大典續錄)
사변록
(思辨錄)
인현 왕후전
1689
기사환국
(己巳換局)
1623
인조 반정
(仁祖反正)
1680
경신환국
(庚申換局)
1694
갑술환국
(甲戌換局)
1695
노강서원
명릉
(明陵)
1712
백두산 정계비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 참조 원문/전문
박태보전
朴泰輔傳
근/현대 소설
차상찬
(34)
인현왕후전(1)
인현왕후전
고전 소설
미상
(31)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