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그외 관심 원문 :   
【오늘】 2025년 5월 8일 (목) (음 4월 11일, 丁丑) 집계기준 : 2025년 5월 5일
겸재 정선이 비 내린 뒤의 인왕산을 그린 산수화이다. 『인왕제색도』는 현재 호암미술관에서 이름을 바꾼 리움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다.
백과사전 내용을 확인합니다[내용보기]  
인왕제색도 (仁王霽色圖) 겸재 정선이 비 내린 뒤의 인왕산을 그린 산수화이다. 조선 영조 27년인 1751년. 나이는 76세때 평생을 사귄 벗이었던 이병연이 병에 걸려 위중해지자 그의 집을 방문하여 그린 것으로 알려져 있다. 관념적인 풍경이 아닌 실제 풍경을 화폭에 담는 진경산수화의 대표작이다. 현재 호암미술관에서 이름을 바꾼 리움미술관이 소장
◈ 지식지도 관계
인왕제색도 (仁王霽色圖) 1751 진경 산수화 고증학 (考證學) 문인화 (文人畵) 실학 (實學) 추사체 (秋史體) 백과 전서 진도군 (珍島郡) 1751년 18세기 (18世紀) 1750년대 1844년 1750년 1752년 1753년 1754년 1755년 1756년 1757년 1758년 1759년 1671 이병연 (李秉淵) 1676 정선 (鄭敾) 1786 김정희 (金正喜) 1903 손재형 (孫在馨) 1648 김창집 (金昌集) 1653 김창흡 (金昌翕) 1668 윤두서 (尹斗緖) 1707 심사정 (沈師正) 1733 옹방강 (翁方綱) 1750 박제가 (朴齊家) 1762 조수삼 (趙秀三) 1766 김노경 (金魯敬) 1797 조희룡 (趙熙龍) 1804 이상적 (李商迪) 1807 박규수 (朴珪壽) 1809 문조 (文祖) 1809 허련 (許鍊) 1820 강위 (姜瑋) 1820 흥선 대원군 1831 오경석 (吳慶錫) 1852 지운영 (池雲英) 1871 김돈희 (金敦熙) 1392 도화서 (圖化署) 2009 겸재정선미술관 완당 세한도 1734 정선필 금강전도 석파랑
 
◈ 최근등록순
2015.05.11
다시 찾은 겸재 정선 미술관과 궁산 (2015.5.11)
【여행】 국립중앙도서관의 누정 답사(1편은 노량진 용양봉저정, 2편은 망원정, 3편은 행주산성)는 진경 산수화가인 겸재 정선의 그림이 있는 미술관 관람과 궁산(높이 74m)의 소악루에서 마무리 했습니다.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