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4월 9일 (수)
(음 3월 12일, 戊申)
집계기준 : 2025년 4월 7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
•
정진사전(鄭進士傳)
•
조용조(租庸調)
•
여수 8경(麗水八景)
•
병산 서원(屛山書院)
•
오륜가(五倫歌)
•
5교 9산(五敎九山)
•
토정비결(土亭秘訣)
•
향가(鄕歌)
•
금오신화(金鰲新話)
•
서유기(西遊記)
•
찬기파랑가(讚耆婆郞歌)
•
조지 버클리
•
불상(佛像)
•
이생규장전(李生窺墻傳)
•
사씨남정기(謝氏南征記)
•
이오니아 양식
•
필리포스 2세
•
노 희공(魯僖公)
•
고려 가요(高麗歌謠)
▣
장혼 (張混)
바로가기
[1759 ~ 1828] 조선 후기의 학자이자 위항 시인으로, 호는 이이엄(而已广), 공공자(空空子), 자는 원일(元一)이다. 장륜(張淪)이라고도 하였다.
인물
:
[1759 ~ 1828] 조선 후기의 학자이자 위항 시인으로, 호는 이이엄(而已广), 공공자(空空子), 자는 원일(元一)이다. 장륜(張淪)이라고도 하였다.
인의(引儀)
장우벽(張友璧)
의 아들로 효성이 지극하고 일찍이 시와 글씨에 탁월한 재능이 있어 추사 김정희조차 시흥(詩興)이 호방하고 장쾌하며 거침이 없음을 찬사하였다 한다.
1790년(정조 14년)
감인소(監印所)
의 사준(司準)이 되어 서적 편찬에 종사하였다.
저술로는 1803년에 지은 아동용 교재 《
아희원람
》(兒戱原覽)과 1810년에 지은 일종의 백과사전인 《
몽유편
》(蒙喩篇)이 유명하며, 이 외에도 수십 권의 책을 저술하였다.
천수경
등과 교제하였으며
송석원시사
의 동인이었다. 인왕산 옥류동 계곡에 이이엄(而已广)이라는 집을 짓고 살았다.
•
장혼자
- 장혼이 만든 목활자. 1810년 《몽유편》시작으로 많은 서적을 인쇄하였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장혼
(張混)
1759
1735
장우벽
(張友璧)
1403
계미자
(癸未字)
1626
수어청
(守禦廳)
위항문학
시사
(詩社)
송석원
(松石園)
1810년
1803년
1786년
1768
천수경
(千壽慶)
1731
홍대용
(洪大容)
1753
차좌일
(車佐一)
박효관
(朴孝寬)
최수보
(崔守甫)
오동래
(吳東萊)
하준권
(河俊權)
정중보
(鄭仲甫)
김낙서
(金洛瑞)
1762
조수삼
(趙秀三)
1764
왕태
(王太)
1771
박윤묵
(朴允墨)
1867
하규일
(河圭一)
주자소
(鑄字所)
1786
송석원시사
승정원
(承政院)
통례원
(通禮院)
비연시사
1776
규장각
(奎章閣)
1840
서원시사
1803
아희원람
1810
몽유편
(蒙喩篇)
1797
풍요속선
장혼자
(張混字)
•
장지완(張之琬)
•
박영석(朴永錫)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 참조 원문/전문
평민문학을 부흥한 장혼 선생
근/현대 수필
안확
(7)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