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4월 10일 (목)
(음 3월 13일, 己酉)
집계기준 : 2025년 4월 7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전우치전(田禹治傳)
•
정진사전(鄭進士傳)
•
이상(李箱)
•
이생규장전(李生窺墻傳)
•
두껍전(----傳)
•
조용조(租庸調)
•
무녀도(巫女圖)
•
시경(詩經)
•
이옥(李鈺)
•
군담 소설(軍談小說)
•
유충렬전(劉忠烈傳)
•
누정(樓亭)
•
동인 문학상
•
명심보감(明心寶鑑)
•
박씨전(朴氏傳)
•
용부가(庸婦歌)
•
공장제 기계 공업
•
손기정(孫基禎)
•
구운몽(九雲夢)
•
귀토설화(龜兔說話)
▣
서양철학 (西洋哲學)
바로가기
원래 그리스어로 필로소피아(philosophia)를 뜻한다. 필로소피아는 필로스(philos, 사랑함)와 소피아(sophia, 지혜)라는 두 말을 합성한 것이다. 필로소피아라는 말을 그대로 번역하면, ‘지혜에 대한 사랑’ 또는 ‘애지(愛智)’를 뜻한다.
지식
:
제1철학 - 진리의 문제를 다루는 이론철학
제2철학 - 선의 문제를 다루는 실천철학
제3철학 - 미의 문제를 다루는 예술철학
그리스철학
중세철학
근대철학
현대철학
서양철학사의 5대 천왕
플라톤
,
아리스토텔레스
,
데카르트
,
칸트
,
헤겔
철학 분야
형이상학
(존재론),
인식론
,
윤리학
,
미학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서양철학
(西洋哲學)
그리스 철학
미학
(美學)
윤리학
(倫理學)
인식론
(認識論)
중세 철학
(中世哲學)
철학
(哲學)
형이상학
현대철학
근대 철학
가정 윤리
(家庭倫理)
경험
(經驗)
경험론
(經驗論)
고대 그리스
구조주의
(構造主義)
기하학
(幾何學)
대수학
(代數學)
변증법
(辨證法)
분석 철학
(分析哲學)
소피스트
(Sophist)
실용주의
(實用主義)
실존주의
(實存主義)
아리스토텔레스 학파
에피쿠로스 학파
중국 철학
칸트-라플라스의 성운설
합리론
(合理論)
해석 기하학
변증법적 유물론
-384
아리스토텔레스
-427
플라톤
(Platon)
1596
르네 데카르트
1724
이마누엘 칸트
1770
헤겔
(Hegel)
-336
알렉산드로스 3세
-373
테오프라스토스
-431
크세노폰
(Xenophon)
-470
소크라테스
(Socrates)
-485
고르기아스
(Gorgias)
-500
멜리소스
-515
파르메니데스
-640
탈레스
(Thales)
데모크리토스
1472
왕양명
(王陽明)
1632
존 로크
1685
조지 버클리
1857
페르디낭 드 소쉬르
1859
에드문트 후설
1889
마르틴 하이데거
시학 (아리스토텔레스)
수사학
프로타고라스
파이돈
(Phaedo)
향연
1637
방법 서설
1644
철학의 원리
1788
실천 이성 비판
1618
30년 전쟁
•
몽테스키외(Charles Louis de Secondat Montesquieu)
•
법의 정신(法--精神)
•
아르투어 쇼펜하우어
•
계몽주의(啓蒙主義)
•
생의 철학(生--哲學, philosophy of life)
•
그리스 7현인
•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