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4월 19일 (토)
(음 3월 22일, 戊午)
집계기준 : 2025년 4월 14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이상(李箱)
•
통도사(通度寺)
•
절(寺)
•
북천가(北遷歌)
•
덕수궁(德壽宮)
•
삼국사기(三國史記)
•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
•
1292년
•
관동별곡(關東別曲)
•
옥소전(玉簫傳)
•
유네스코 세계유산
•
장진주사(將進酒辭)
•
금강산(金剛山)
•
이주홍(李周洪)
•
어린이(-)
•
엔디미온(Endymion)
•
향가(鄕歌)
•
동몽선습(童蒙先習)
•
맹호 부대(猛虎部隊)
•
사토 기요시
▣
오동래 (吳東萊)
바로가기
[? ~ ?] 조선후기 장우벽의 제자로 정중보, 최수보, 박효관 등에게 가곡을 전수한 가객.
인물
:
[? ~ ?] 조선후기
장우벽
의 제자로
정중보
,
최수보
,
박효관
등에게
가곡
을 전수한 가객.
내용
가성(歌聖)장우벽(張友璧)의 가곡을 전수받은 명인이다. 그리고 정중보(鄭仲甫)·최수보(崔守甫)·박효관(朴孝寬) 등에게 가곡을 전수하였다. 이처럼 그의 가곡이 전수됨으로써 박효관은『
가곡원류
』를 남겼다. 그러나 그의 제자 가운데 오직
최수보
의 가곡만이 이어져서 현재에 이른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오동래
(吳東萊)
1735
장우벽
(張友璧)
최수보
(崔守甫)
박효관
(朴孝寬)
정중보
(鄭仲甫)
가곡
(歌曲)
가사
(歌詞)
계면조
(界面調)
시조
(時調)
평조
(平調)
1876년
이세춘
(李世春)
김유기
(金裕器)
하준권
(河俊權)
하순일
(河順一)
1680말
김천택
(金天澤)
1690
김수장
(金壽長)
1731
홍대용
(洪大容)
1759
장혼
(張混)
1816
안민영
(安玟英)
1820
흥선 대원군
1842
명완벽
(明完璧)
1845
이재면
(李載冕)
1867
하규일
(河圭一)
1896
허정
(許政)
1909
이병성
(李炳星)
1909
이주환
(李珠煥)
1918
김월하
(金月荷)
통례원
(通禮院)
승평계
(昇平契)
1876
가곡원류
(歌曲源流)
고금가곡
(古今歌曲)
1728
청구영언
(靑丘永言)
1763
해동가요
(海東歌謠)
필운대
(弼雲臺)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