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해양수산부 (海洋水産部 ,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1996년 정부조직 개편에 의해, 해운과 항만의 운영 및 건설을 담당해 온 해운항만청과 수산업 진흥 기능을 수행해 온 수산청 등이 통폐합되어 발족한 중앙행정기관을 말한다. 해양수산부는 2008년 2월 정부조직 개편에 따라 국토해양부로 통합되었다.
▣ 시민 참여 콘텐츠
조회수 : 1 (5 등급)
◈ 건설과 운영을 통합한 해외항만시장 진출방안 찾는다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는 12월 11일(수) 오후 1시 30분 서울 켄싱턴호텔(서울 여의도)에서 ‘2019년도 해외항만개발 지원협의체 정기협의회’를 개최한다.【항만투자협력과 - 김동영 (044-200-5963)】
해양수산부(海洋水産部 ,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한국 산업 은행(Korea Development Bank, 韓國産業銀行) # GS건설 # 부산항만공사 # 삼성물산 # 수출입은행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 현대건설 # 현대상선
- 해외항만시장 진출방안 및 극동러시아 투자사업 논의 -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는 12월 11일(수) 오후 1시 30분 서울 켄싱턴호텔(서울 여의도)에서 ‘2019년도 해외항만개발 지원협의체 정기협의회’를 개최한다.
 
‘해외항만개발 지원협의체’는 항만분야의 해외 유망사업을 발굴하고 국내 기업의 해외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2016년 3월에 항만공사, 금융기관, 물류기업, 건설사, 학계 등 40여 개의 기업 및 단체*가 참여해 출범하였다. 협의체는 이번 협의회까지 총 12차례의 정기협의회를 개최하여 해외항만 개발사업을 지원해 오고 있다.
* 부산항만공사(BPA), 수출입은행, 한국산업은행, 삼성물산, 현대상선, 현대건설, GS건설,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등
 
해양수산부는 그간 해외항만시장 진출에 있어 항만 건설과 운영을 각각 추진해 왔으나, 최근 민관합작투자사업(PPP)* 확장 등 세계 항만시장의 변화에 발맞추기 위해 앞으로는 건설과 운영을 통합하여 추진할 계획이다.
* Public Private Partnership: 공적자금과 민간재원이 함께 투입되는 개발협력 사업
 
이에 따라, 이번 협의회 1부에서는 해외 운영사와의 공동운영법인 설립과 개발?운영권 확보 등을 위해 해양수산부가 추진하는 K-GTO*, 해외항만 진출방안 등 정부정책을 소개하고, 건설사, 운영사, 금융기관 등과 긴밀하게 논의할 예정이다.
* Korea Global Terminal Operator: 여러 국가에서 컨테이너 터미널을 운영하는 한국기업
 
2부에서는 러시아 극동투자수출청의 투자 담당자(Invest Director)가러시아 극동지역 투자유치에 관해 발표하여 러시아 진출에 관심 있는 우리 기업의 궁금증을 해소하는 시간을 갖는다. 이어, 러시아 슬라비얀카항 타당성조사 결과와 볼쇼이카멘 물류단지 및 포디야폴스키 항만의 개발 타당성조사 진행상황을 발표하고 논의할 예정이다.
 
해양수산부 관계자는 “국내 기업의 해외항만시장 진출은 신북방정책과 신남방정책을 원활하게 추진함에 있어 꼭 필요한 요소이다.”라며, “앞으로도 정기협의회를 지속적으로 개최하여 우리 기업의 해외항만시장 진출을 다방면으로 지원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첨부 :
191211(조간) 건설과 운영을 통합한 해외항만시장 진출방안 찾는다(항만투자협력과).hwp
 

 
※ 원문보기
해양수산부(海洋水産部 ,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한국 산업 은행(Korea Development Bank, 韓國産業銀行) # GS건설 # 부산항만공사 # 삼성물산 # 수출입은행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 현대건설 # 현대상선
【산업】건설과 운영을 통합한 해외항만시장 진출방안 찾는다
(게재일: 2019.12.10. (최종: 2019.12.10. 18:02))  해양수산부 보도자료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심화항목(D)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시민 참여 콘텐츠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없 음
▣ 분류정보 (상위)
(C) 행정
대통령
대통령
국가정보원
중앙인사위원회
부패방지위원회
국무총리
국무총리
기획예산처
법제처
국정홍보처
국가보훈처
각부처
재정경제부
교육인적자원부
통일부
외교부
법무부
국방부
행정자치부
과학기술부
문화관광부
농림부
산업자원부
정보통신부
보건복지부
환경부
노동부
여성부
건설교통부
해양수산부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