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대한 민국 임시 정부(大韓民國臨時政府)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대한 민국 임시 정부 (大韓民國臨時政府)
1919년 4월 13일에 중국 상하이에서 수립된 조국 광복을 위한 우리 나라의 임시 정부. 1919년에 설치되어 1945년까지 존속하였다.
◈ (신규) 연표
목   차
[숨기기]
 

1. 1905년

 
 

2. 1907년

 
 

3. 1908년

장인환, 전명운 의거
 
 

4. 1909년

 
 

5. 1910년

5월
미국, 대한인국민회 성립
 
 

6. 1910년

8.29 경술국치 (일제강점기 시작)
 
 

7. 1919년

2.8 일본 유학생, 독립 선언
 
3.1 기미년 삼일독립운동
 
3.17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대한국민의회 정부 독립선언서 발표
 
4.11 상하이,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4.13 임시 정부 수립 선포
 
4.23 국내, 한성 임시정부 수립 선포
 
5.10 임시정부, 파리강화회의에 독립청원서 제출
 
7.10 임시정부, 국내 연통제 실시
 
8.21 임시정부, 독립신문 창간
 
9.11 임시정부, 전문 7장 58조의 임시 헌법 제정 공포
 
9.15 통합 임시정부 ‘대한민국 임시정부’ 출범
 
 

8. 1920년

 
7월 임시정부, 소련 정부와 비밀 협정 체결
 
 
 

9. 1921년

11.3 중국 호법 정부, 대한민국 임시정부 승인
 
 

10. 1923년

1.3 상하이, 국민대표회의 개막
 
 

11. 1925년

3.13 이승만, 임시 대통령직에서 탄핵. 후임에 박은식 취임
3.30 임시정부, 대통령제를 국무령 중심 내각제로 2차 개헌
 
 

12. 1926년

12.1 임시정부, 상하이 보경리 4호로 이전
 
12.14 김구, 국무령에 취임
 
 

13. 1927년

3.5 임시정부, 집단지도체제(국무위원제)로 개편하는 3차 개헌
 
 

14. 1928년

7월 장졔스, 북벌 완수로 중국 통일
 
 

15. 1930년

1월 상하이, 한국독립당 결성
 
 

16. 1931년

9.18 만주사변 발발
11월 중화 소비에트 임시 정부 수립
 
 

17. 1932년

1.8 이봉창, 일본왕에게 폭탄 투척
 
4.29 윤봉길, 홍구공원 의거
 
5.15 임시정부, 항쩌우(杭州) 시대 시작
 
 

18. 1933년

5월 김구, 장졔스를 만나 대일 전투 방책 협의
 
6.30 만주 대전자령에서 한국독립군이 일본군 대부대 섬멸
 
 

19. 1934년

3.1 해외 독립단체들, 대일 공동 투쟁 합의
 
3월 뤄양군관학교 한인특별대 군사 교육 실시
 
 

20. 1935년

11.25 임시정부, 쩐쟝(鎭江)으로 이전
 
11.하순 김구, 한국국민당 조직
 
 

21. 1937년

7.7 중일전쟁 발발
 
8.17 한국광복운동단체연합회 (광복진선) 결성
 
11.23 임시정부와 광복진선의 요인과 대가족, 난징(南京) 탈출
12.4 임시정부 제1진, 창사(長沙) 도착
 
12.13 일본군 난징 점령 (난징학살사건)
 
 

22. 1938년

5.7 김구, 창사 남목청에서 피격
 
7.17 임시정부, 창사 출발
7.20 광쩌우(廣州) 도착
 
10.10 조선의용대 (총대장 김원봉) 결성
 
10.20 임시정부, 푸산(佛山) 탈출
11.30 임시정부, 류쩌우(柳州) 도착
 
 

23. 1939년

2월 한국광복진선 청년공작대 조직
 
4.22 임시정부 대가족, 류쩌우 출발
4.25 꾸이양(貴陽) 도착
4.28 꾸이양 출발
4.30 치쟝현 도착
 
5.3 임시정부, 치쟝(綦江) 시대 시작
 
5월 김구김원봉, 공동 성명서 발표
 
 

24. 1940년

 
9월 임시정부, 충칭(重慶)시대 시작
 
9.17 임시정부, 광복군총사령부 설치
 
10.9 임시정부 4차 개헌, 주석 중심체제로 개편
 
 

25. 1941년

11.28 임시정부, 대한민국 건국강령 제정 발표
 
11월 임시정부, 대미외교위원회 (위원장 이승만)를 워싱턴에 설치
 
12.10 조선민족혁명당, 임시 정부 참여를 결의
 
12.8 일본의 진주만 기습, 태평양전쟁 발발
 
12.9 임시정부, 대일선전포고 의결
12.10 포고문 발표
 
 

26. 1942년

4월 중국 국민당정부(국방최고위원회), 대한민국 임시정부 승인
5.18 조선의용대, 광복군 제1지대로 편입
6.29 임시정부, 국기 통일 양식 결정
 
 

27. 1943년

8.13 광복군, 연합군 요구로 버마 전선에 참여
 
 

28. 1944년

4.22 임시의정원 제36회 회의, 5차 개헌안 통과로, 연립 정부 형태의 임시정부 구성
6월 프랑스와 폴란드 정부, 주중대사관을 통해 임시정부 승인을 통보
 
 

29. 1945년

1.1 임시정부, 연화지 청사로 이전
 
1.31 일본군 탈출 한인 학병들, 임시정부 청사에 도착
 
5월 광복군 OSS훈련 실시
 
8.6 히로시마, 원폭 투하
8.9 나가사끼, 원폭 투하
 
8.10 일본, 포츠담선언 수락
 
8.15 일제의 패망 선언으로 한반도 해방
 
8.24 소련군 평양 점령
 
9.2 38도선으로 국토 분단
 
9.3 임시정부, 임시 정부당면정책 발표
 
9.17 미군정 시작
 
11.23 임시정부 요인 1진 환국 (김구 외)
12.1 임시정부 요인 2진 환국 (옥구비행장)
12.2 서울 도착
12.19 서울운동장에서 임시정부 개선 환영대회 개최
 
12.27 한국신탁통치안 발표
 
 

30. 1946년

1.14 중앙청 건물에 태극기 공식 게양
 
 

31. 1948년

3.8 김구, 남북협상 제의
4.19~5.4 평양 방문
 
8.15 대한민국 정부 수립
9.9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수립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심화항목(D)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지식지도
원문/전문
시민 참여 콘텐츠
관련 동영상
▣ 주요 정보
연표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