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시대인
1170년(의종 24)에 일어난 경인(庚寅)의 난과
1173년(명종 3)에 일어난 계사(癸巳)의 난을 합쳐서 부르는 말. 경인의 난은
정중부의 난을 가리키며, 계사의 난은
김보당의 난을 가리킨다.
고려 초기부터 시작된 무신에 대한 천대와 모욕은 의종 때에 이르러 그 정도가 거의 폭발할 지경에 이르렀다.
1170년 의종이 문신들과 함께 보현원에 행차했을 때, 왕과 문신들을 호위하기 위하여 따라간 무신
정중부·
이의방·
이고 등이 반란을 일으켜 그 자리에 있던 문신들을 모두 죽이는 반란을 일으켰다.
개경으로 돌아온 무신들은 문신들을 눈에 보이는 대로 죽이고 반란을 성공시켰다. 이 무신 반란이 바로 경인의 난이다.
정권을 잡은 무신들은 곧 의종은 거제도로, 세자는 진도로 쫓아내고, 의종의 동생인 익양공을 왕위에 올렸는데, 그가 바로
명종이다.
그로부터 3년 후인
1173년 계사년, 동북면 병마사로 있던
김보당은 의종을 다시 왕위에 복귀시키고
정중부 등의 무신을 무찌를 목적으로 군사를 일으켰다. 이 일을 김보당의 난 또는 계사의 난이라고 한다. 그러나 김보당이 정중부에게 패함으로써, 문신들은 경인년에 이어 또 한 차례 큰 화를 당하였다.
문신의 세력은 이 두 차례의 반란으로 완전히 약해지고, 고려는 완전히 무신들의 세상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