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민요의 하나. 지은이, 연대는 알 수 없다. 조선 말기인 1865년(고종 2) 흥선 대원군이 경복궁을 다시 지을 때부터 불린 노래라고 전한다.
전국 각지에서 불려 온 일꾼들이 힘든 일과 무리한 공사를 빗대어 부른 것이 널리 퍼지게 되었다. 그후 독자적인 선소리의 하나로 불리게 되었는데, 선소리란 대여섯 사람이 장구 를 둘러메고 둘러서서 서로 주고받는 형식으로 노래하는 잡가를 말한다.
사설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남문을 열고 파루를 치니 계명산천이 밝아 온다
을축 사월 갑자일에 경복궁을 이룩하세
석수장이 거동 보소 방망치를 갈라 잡고 눈만 껌벅거린다
도편수의 거동 보소 먹통을 들고서 갈팡질팡한다
단산봉황은 죽실을 물고 벽오동 속으로 넘나든다
남산하고 십이봉에 오작 한 쌍이 훨훨 날아든다
왜철쭉 진달화 노간죽하니 맨드라미 봉선화가 영산홍이로다
우광꿍꽝 소리가 웬 소리냐 경복궁 짓는 데 회방아 찧는 소리다
……
자진타령 장단 에 5 음계 구성으로, 높게 질러 내는 선율이 많아서 밝고 힘찬 느낌을 주는 민요이다.
사설 내용 중 '을축 사월 갑자일……'이라고 하여 '갑자·을축'을 거꾸로 한 것은 경복궁 중건을 서두르는 바람에 보다 중요한 일이 뒤로 미루어졌음을 은근히 비꼰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