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노랫가락(-)
노랫가락
자 료 실
▶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관련 동영상
about 노랫가락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노랫가락 (-)
경기 민요의 하나. 《무녀유가》라고도 한다. 서울 지방에서 무당들이 굿을 하면서 불렀던 노래가 널리 퍼지면서 일반 사람들이 부르는 노래로 변하게 된 것 중의 하나이다.
▣ 지식지도
◈ 지식지도
노랫가락 (-) 경기 민요 민요 도라지 타령 맹꽁이타령 방물가 베틀가 사발가 아리랑 유산가 출인가 십장가 달거리 평양가 형장가 집장가 소춘향가 창부타령 선유가 제비가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노랫가락 민요 민요 (7)
▣ 참조 카달로그
◈ 참조 키워드
금강산 타령 (4) 백과 창부타령 (4) 백과 경기 민요 (3) 백과 긴아리랑 (3) 오봉산타령 (3) 제비가 (3) 백과 경기소리 (2) 경복궁 타령 (2) 백과 맹꽁이타령 (2) 백과 밀양 아리랑 (2) 백과 방아타령 (2) 백과
▣ 백과사전
경기 민요의 하나. 《무녀유가》라고도 한다. 서울 지방에서 무당들이 굿을 하면서 불렀던 노래가 널리 퍼지면서 일반 사람들이 부르는 노래로 변하게 된 것 중의 하나이다.
 
그 기원에 대해서는 농업이나 목축업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는 견해와 조선 시대 말기인 고종 때 무당들의 노래에 시조를 얹어 불렀다는 견해 등이 있는데, 시조곡에서 갈려 나와 생겼다는 것이 밝혀졌다.
 
조선 시대 고종 초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는 《삼죽금보》에 《무녀시조》의 거문고 악보가 실려 있는데, 이 《무녀시조》의 악보와 지금의 시조 곡조를 비교해 보면 《무녀시조》가 시조 곡조를 축소한 형태로 1920년대의 《무녀유가》이며, 지금의 《노랫가락》이라는 점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노랫가락》은 무당의 노래에 시조를 얹어서 부른 것이 아니라, 시조 곡조를 축소시킨 다음 형태를 바꾼 곡에 시조를 얹어서 부른 것이다.
 
《노랫가락》의 노래는 시조를 뜻한다. 따라서 《노랫가락》은 노래, 다시 말하면 시조로써 부르는 가락이라고 말할 수 있다. 《노랫가락》은 《창부타령》과 마찬가지로 솔라도레미의 5 음계로 이루어져 있는데, 가사는 평시조와 마찬가지로 초장과 중장, 그리고 종장의 세 부분으로 나뉜다.
 
대부분의 경기 민요가 일정한 격식을 갖춘 장단의 틀에 맞추어진 것과는 달리, 《노랫가락》은 일정한 격식에서 벗어난 5 장단으로 짜여져 있다. 음악의 구성이라는 점에서 시조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으며, 민요의 흐름과 장단의 변화를 짐작하여 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한편, 《노랫가락》은 20세기에 들어와서는 퇴폐적으로 놀고 즐기는 성격 을 띠게 되면서 통속적인 민요가 되어, 술집에서 술을 마시며 놀 때 많이 불리기도 하였다.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참조정보
백과 참조
경기 민요의 하나.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