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김득신(金得臣)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김득신 (金得臣)
[1754 ~ 1822] 조선 후기의 화가. 호는 긍재(競齋), 또는 홍월헌(弘月軒)이다. 도화서 화원 출신으로 산수화 등에 능하였고, 풍속화에서는 김홍도 못지않게 역량을 발휘하였다. 특히 인물화를 정밀하게 잘 그려, 겸재 정선, 현재 심사정과 더불어 영조 때의 그림의 ‘3재’로 불렸다.
◈ 지식지도 관계
김득신 (金得臣) 1754 진경 산수화 1392년 1676 정선 (鄭敾) 1707 심사정 (沈師正) 1745 김홍도 (金弘道) 1758 김석신 (金碩臣) 1465 이상좌 (李上佐) 1581 이징 (李澄) 15C초 안견 (安堅) 1648 김창집 (金昌集) 1653 김창흡 (金昌翕) 1668 윤두서 (尹斗緖) 1696 김두량 (金斗樑) 1713 강세황 (姜世晃) 1726 신한평 (申漢枰) 1742 김응환 (金應煥) 김명국 (金明國) 변상벽 (卞相璧) 이명욱 (李明郁) 1758 신윤복 (申潤福) 1843 장승업 (張承業) 1853 조석진 (趙錫晋) 1392 도화서 (圖化署) 2009 겸재정선미술관 1751 인왕제색도 정선필 금강전도 김홍도필 풍속도 화첩 1776 김홍도 필 군선도 병풍 1796 김홍도 필 병진년 화첩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긍재풍속도첩 兢齋風俗圖帖 어문/학습/예술 김득신(金得臣) (23)
송하기승
[서화] 송하기승
김득신 ()
(28)
야묘도추
[서화] 야묘도추
김득신 ()
(19)
밀희투전
[서화] 밀희투전
김득신 ()
(17)
추수타작
[서화] 추수타작
김득신 ()
(12)
목동오수
[서화] 목동오수
김득신 ()
(10)
강상회음
[서화] 강상회음
김득신 ()
(7)
성하직구
[서화] 성하직구
김득신 ()
(7)
야장단련
[서화] 야장단련
김득신 ()
(5)
◈ 참조 원문/전문
◈ 조회순
2018.07.20
【향토】 상당(上黨)의 동쪽 검단산(黔丹山) 아래 끊어진 산기슭이 있는데 그 이름이 ‘고운대(孤雲臺)’이다. 긴 시냇물이 인봉(釰峰)에서 곧바로 내려와 고운대를 안고 흐르는데 그 좌우에 절벽과 높은 산들이 줄지어 서 있고 앞쪽은 평평하게 탁 트여 경치가 뛰어나다.
2018.07.20
【향토】 지난 신축년(辛丑年)에, 우리 아버님께서 괴주(槐州) 방하현(方下峴)에 들어가 4년을 사시다가 돌아가셨다. 그 후 거의 50년이 지났는데 나는 아버님이 사시던 곳에 살고자 했으나 벼슬살이에 매여 소원을 이룰 수 없었다.
 
◈ 최근등록순
2018.07.20
【향토】 상당(上黨)의 동쪽 검단산(黔丹山) 아래 끊어진 산기슭이 있는데 그 이름이 ‘고운대(孤雲臺)’이다. 긴 시냇물이 인봉(釰峰)에서 곧바로 내려와 고운대를 안고 흐르는데 그 좌우에 절벽과 높은 산들이 줄지어 서 있고 앞쪽은 평평하게 탁 트여 경치가 뛰어나다.
2018.07.20
【향토】 지난 신축년(辛丑年)에, 우리 아버님께서 괴주(槐州) 방하현(方下峴)에 들어가 4년을 사시다가 돌아가셨다. 그 후 거의 50년이 지났는데 나는 아버님이 사시던 곳에 살고자 했으나 벼슬살이에 매여 소원을 이룰 수 없었다.
▣ 참조 카달로그
◈ 주요 언급 키워드
풍속화 (9) 백과 도화서 (2) 백과 정선 (2) 백과 진경 산수화 (2) 백과
◈ 참조 키워드
함흥시 (3) 백과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원문/전문
시민 참여 콘텐츠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백과 참조
형제 : 김석신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