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김창협(金昌協)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김창협 (金昌協)
[1651 ~ 1708] 조선 중기의 학자· 문신. 호는 농암(農巖)·삼주(三洲)이고, 시호는 문간(文簡)이다. 저서에 《농암집》 《사단칠정변》 등과 글씨에 《문정공 이단 상비》 등이 있다.
◈ 지식지도 관계
김창협 (金昌協) 1651 1629 김수항 (金壽恒) 1658 김창업 (金昌業) 1648 김창집 (金昌集) 1653 김창흡 (金昌翕) 1575 서인 (西人) 1591 남인 (南人) 노론 (老論) 붕당 정치 사색 당파 (四色黨派) 소론 (少論) 환국 (換局) 연행일기 (燕行日記) 1674 예송 논쟁 (禮訟論爭) 1694년 1680년 1689년 1674년 1570 김상헌 (金尙憲) 1607 송시열 (宋時烈) 1626 김수흥 (金壽興) 1651 희빈 장씨 1658 이이명 (李頤命) 1660 조태채 (趙泰采) 1663 이건명 (李健命) 1667 인현 왕후 (仁顯王后) 1676 정선 (鄭敾) 1680 김제겸 (金濟謙) 1765 김조순 (金祖淳) 1682 낙송루시사 심양일기 1689 기사환국 (己巳換局) 1694 갑술환국 (甲戌換局) 1674 갑인예송 1680 경신환국 (庚申換局) 1721 신임사화 (辛壬士禍)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산민 山民 한시 김창협 (16) 착빙행 鑿氷行 한시 김창협(金昌協) (9)
◈ 조회순
2018.07.20
【향토】 파관(葩串) 골짜기의 넓음과 반석의 웅장함은 진실로 소문과 어긋나지 않는데 돌빛은 오히려 맑고 매끄러움이 부족하다. 거기서 가장 밝고 깨끗하여 가히 사랑할만한 것은 물 북쪽의 한 곳 뿐이고 그 나머지는 다 상품이라고 말하기 어렵다.
 
 
◈ 최근등록순
2018.07.20
【향토】 파관(葩串) 골짜기의 넓음과 반석의 웅장함은 진실로 소문과 어긋나지 않는데 돌빛은 오히려 맑고 매끄러움이 부족하다. 거기서 가장 밝고 깨끗하여 가히 사랑할만한 것은 물 북쪽의 한 곳 뿐이고 그 나머지는 다 상품이라고 말하기 어렵다.
 
▣ 참조 카달로그
◈ 주요 언급 키워드
기사환국 (3) 백과 김창흡 (3) 백과 위항문학 (3) 백과 김상헌 (2) 백과 노론 (2) 백과 신임사화 (2) 백과 유찬홍 (2) 백과 이건명 (2) 백과 이이명 (2) 백과 임준원 (2) 백과 조태채 (2) 백과 최대립 (2) 백과 최승태 (2) 한시 (2) 백과
◈ 참조 키워드
농암집 (2)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원문/전문
시민 참여 콘텐츠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부 : 김수항
형제 : 김창집, 김창협, 김창흡, 김창업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