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남사당(男寺黨)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남사당 (男寺黨)
조선 시대에 여러 지방을 떠돌아다니면서 노래나 춤을 구경거리로 팔던 무리.
▣ 지식지도
◈ 지식지도
남사당 (男寺黨) 풍물놀이 꼭두각시 꼭두각시놀이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 참조 원문/전문
꼭두각시놀음 (대본) 판소리 / 가면극 (234) 남사당 근/현대 시 노천명 (13)
▣ 참조 카달로그
◈ 참조 키워드
꼭두각시놀이 (2) 백과
▣ 백과사전
조선 시대에 여러 지방을 떠돌아다니면서 노래나 춤을 구경거리로 팔던 무리.
 
조선 사회에서 가장 천대받던 계층으로 대개 40~50명이 한 무리를 이루고 있었다. 이들 무리에는 꼭두쇠라는 우두머리 아래에 그를 돕는 곰뱅이쇠가 있었으며, 놀이 분야마다 책임자격인 뜬쇠가 있었다.
 
그들 사회의 규율은 매우 엄격하였고, 놀이 재주는 주로 풍물(농악), 버나(대접 돌리기), 살판(땅재주), 어름(줄타기), 덧뵈기(탈놀음), 덜미(꼭두각시놀음) 등이었다.
 

 
• 농악대(풍물) : 현재는 남사당패가 공연하는 농악은 원래 한국 중부의 경기도와 충청도 지방에서 유래되었다. 도로 행진과 개인놀음으로 구성된다.
 
• 가면극(덧뵈기) : 열세 명의 연희자가 등장하는 네 마당은 공연의 시작을 알리는 마당씻이, 잘못된 외래문화 수입을 비판하는 옴탈마당, 양반을 조롱하는 샌님잡이, 문란한 성에 대해 비판하는 먹중으로 구성된다.
 
• 조선줄타기(어름) : 팽팽한 외줄 위에서 여러 가지 곡예를 펼치는 사이사이에 바닥의 어릿광대와 재담을 주고 받는다. 줄은 높이 2.5m에 약 9~10m의 길이로 설치된다. 현재 남사당패의 권원태(權元泰, 1967~, 중요무형문화재 제3호) 줄꾼은 17가지의 곡예를 펼칠 수 있다.
 
• 꼭두각시놀음(덜미) : 31종의 인형 총 51개가 등장하며 2마당 7거리로 공연된다. 무대는 지상에서 약 1.2m 높이에 검은 천으로 설치한다. 인형 조종자들이 막 뒤에서 인형을 조종하면서 악사들과 함께 무대 앞에 앉은 화자들과 대화를 주고받는다. 극은 늙은 박첨지 마당, 평안감사 마당으로 구성된다. 늙은 박첨지 마당은 박첨지유람거리, 피조리(박첨지의 조카)거리, 꼭두각시(박첨지의 아내)거리, 이시미(비단구렁이)거리로 구성된다. 평안감사 마당은 매사냥·상여거리·절 짓고 허는 거리로 구성된다.
 
• 땅재주(살판) : 이 마당에서는 지상에서 다양한 곡예를 펼친다.
 
• 사발돌리기(버나) : 약 40cm 길이의 나무 막대기를 사용하여 쳇바퀴를 돌리는 복잡한 기술을 선보인다. 때때로 담뱃대나 칼, 작은 얼레를 사용하거나 이런 도구들을 즉흥적으로 결합해서 사용하기도 한다.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원문/전문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관련 동영상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