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로봇(robot)
로봇
자 료 실
▶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시민 참여 콘텐츠
▶ 관련 동영상 (없음)
about 로봇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로봇 (robot)
사람의 모양이나 동작을 본떠서 만든 자동기계.
▣ 지식지도
◈ 지식지도
로봇 (robot)
▣ 시민참여콘텐츠
◈ 인기순 (1 ~ 4 위)
2020.06.18
【문화】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양우, 이하 문체부)는 한국문화정보원과 함께 현재 박물관과 도서관 등에서 운영하고 있는 인공지능 기반 전시 안내 로봇(이하 큐아이)을 국립국악원,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국립태권도박물관 등에도 확대해 운영한다.【정보화담당관 - 한정숙 (044-203-2269)】
2019.09.06
국내 유일 로봇테마파크 마산로봇랜드, 사업 결정 11년 만에 개장
【산업】 마산로봇랜드, 사업 결정 11년 만에 개장 【전략산업과  - 정다정, 김현수  (055-211-3143, 055-608-2012 )】
2019.10.16
【행정】  - 이철우 도지사, ‘안전로봇 실증센터 개소식’참석 【대변인】
2019.09.17
【정치】 『인간-로봇의 공존시대, 로봇이 그리는 미래』전시회・초청강연 행사 성료 【송희경 (국회의원)】
◈ 등록순
2020.06.18
【문화】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양우, 이하 문체부)는 한국문화정보원과 함께 현재 박물관과 도서관 등에서 운영하고 있는 인공지능 기반 전시 안내 로봇(이하 큐아이)을 국립국악원,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국립태권도박물관 등에도 확대해 운영한다.【정보화담당관 - 한정숙 (044-203-2269)】
2019.10.16
【행정】  - 이철우 도지사, ‘안전로봇 실증센터 개소식’참석 【대변인】
2019.09.17
【정치】 『인간-로봇의 공존시대, 로봇이 그리는 미래』전시회・초청강연 행사 성료 【송희경 (국회의원)】
2019.09.11
【정치】 송희경 의원, 『인간-로봇의 공존시대, 로봇이 그리는 미래』 【송희경 (국회의원)】
2019.09.06
국내 유일 로봇테마파크 마산로봇랜드, 사업 결정 11년 만에 개장
【산업】 마산로봇랜드, 사업 결정 11년 만에 개장 【전략산업과  - 정다정, 김현수  (055-211-3143, 055-608-2012 )】
 
▣ 참조 카달로그
◈ 주요 언급 키워드
국회 (2) 백과 송희경 (2) 백과
▣ 백과사전
사람의 모양이나 동작을 본떠서 만든 자동 기계. 원래는 사람과 같은 모습을 한 인형에 기계 장치를 조립해 넣고 자동적으로 움직이게 한 자동 기계 인형을 가리켰다. 오늘날에는 전자 공학을 응용하여 여러 가지 기능을 가지게 한 것, 곧 마이크로 컴퓨터 등에 필요한 일의 순서를 기억시켜서 기계와 조합한 자동 기계를 통틀어 일컫는다. ▶ 어원 로봇이란 말은 체코슬로바키아의 작가 차페크가 1920년에 지은 희곡 《인조 인간》에 나오는 인조 기계 인간의 이름으로, 체코어의 ‘일한다’는 뜻인 robota에서 비롯된 말이다. ▶ 발달 자동 기계를 만들려는 시도는 고대로부터 있었다. 더욱이 사람을 대신하여 위험한 작업을 하거나 정밀한 작업을 하는 로봇을 만들려는 것은 사람들의 오랜 꿈이었다. 처음에는 모양과 동작이 사람과 비슷한 자동 인형을 만드는 데 그쳤으나, 그 후 크기가 작고 힘이 센 전동기(모터)의 제작과 각종 센서(감지기)의 개발에 따라 정밀한 동작을 할 수 있게 되었으며, 그 뿐만이 아니라 시각· 촉각 등에 해당하는 기능도 가지게 되었다. 더욱 중요한 것은 컴퓨터의 발달 에 따라 기억이나 판단 등의 지적인 능력을 가지게 된 점이다. 이제 로봇은 실용적인 단계에 접어들어 교육용, 산업용을 비롯하여 수많은 분야에 이용되기 시작함으로써 본격적인 로봇 시대의 문을 열게 되었다. ▶ 종류 로봇은 그 조작 방법에 따라 조종형, 자동형, 자율형으로 크게 나뉜다. ① 조종형 : 사람의 손이나 발에 해당하는 기능을 가진 기계를 멀리 떨어진 곳에서 조종하는 방식이다. 원자로 안에서 사용되는 기계팔(머니퓰레이터)이 대표적인 예이다. ② 자동형 : 컴퓨터에 일의 순서를 기억시켜서 그대로 반복 작업을 하게 하는 방식이다. 대부분의 산업용 로봇이 이에 속한다. ③ 자율형 : 로봇 스스로 현재의 상황을 판단해 주어진 명령에 따라 자율적으로 행동하게 하는 방식이다. ▶ 용도 [ 산업용 로봇] 오늘날 가장 많이 보급되어 있는 것으로서 사람의 팔이나 손가락과 비슷한 구조를 하고 있으며, 전기나 유압의 힘으로 움직인다. 조립, 용접, 도장(塗裝), 운반, 검사 등에 널리 쓰이고 있다. 특히 최근에 많이 쓰이는 전문적인 산업용 로봇은 마이크로 컴퓨터에 일의 내용과 순서를 기억시켜 사람이 할 수 없는 일도 신속·정확·정밀하게 해내고 있다. 더욱이 산업용 로봇은 아무리 나쁜 조건 속에서라도 오랜 시간 일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공장의 생산 능력과 제품의 질을 크게 향상시키고 있다. [특수용 로봇] 산업 이외의 분야에도 용도에 따라서 갖가지 로봇이 개발 이용되고 있다. 원자로 내부의 점검이나 수리 등과 같이 인체에 위험한 작업은 머니퓰레이터라고 하는 기계팔을 원자로 밖에서 원격 조정 장치를 써서 조정한다. 그 밖에도 무거운 물건의 운반, 해저 작업, 우주 탐사, 좁은 갱구나 땅 속의 배전관에서 하는 작업 등과 같이 위험한 작업에 두루 쓰이고 있다. 또한 소방 활동이나 폭발물의 처리 등 특수한 환경 조건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로봇 이 고안되어 실용화되고 있다. [ 로봇의 미래상] 로봇은 의료 활동이나 복지, 교육 등에도 활용되고 있는데, 앞으로는 특히 이러한 분야의 로봇 개발이 크게 기대되고 있다. 예를 들면 병이 나거나 하여 신체가 부자유스런 사람의 명령에 따라 시중을 들거나 움직임을 도와 주는 간호용 로봇, 눈이 부자유스런 사람의 지팡이 구실을 하는 맹인용 로봇 등과 같은 것이다. 특히 최근에는 마이크로 컴퓨터 를 장치한 의수(義手)나 의족 등의 개발도 이루어지고 있다. 앞으로는 지능이 높고 모양이나 기능도 사람과 거의 비슷한 각종의 로봇이 등장하여 사회 전반에 걸쳐 모든 분야에서 활약하게 될 것이다.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