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리의 단편 소설.
1936년 5월 잡지인 《중앙》지에 발표하였다. 1947년 을유문화사에서 같은 제목으로 발행된 단편집인 《무녀도》를 쓸 때 많은 부분을 고쳤고, 1978년에는 《을화》라는 장편 소설로 다시 확대하면서 많은 부분이 고쳐졌다.
줄거리를 알아보면, 귀신만을 섬기면서 사는 무당인 모화는 그림을 그리는 딸 낭이와 함께 경주에 있는 집성촌의 몰락한 집에서 살고 있다. 그러나 어릴 때 집을 나간 모화의 아들 욱이가 이 집에 다시 들어오게 되면서 모화의 삶에는 변화가 생기기 시작한다. 욱이가 믿는 크리스트교 와 모화가 정성으로 섬기는 귀신 사이에 갈등이 생기기 시작했다. 그들은 어머니와 자식임에도 불구하고 서로 다른 신앙 세계와 가치관의 차이 때문에 서로를 용서하지 못한다. 각각 기도와 주문으로 싸우다가 급기야는 모화가 성경책을 불살라 버리고 이를 말리려는 욱이와의 다툼으로 욱이는 칼에 찔려 죽게 된다. 이후 마을에는 예배당이 세워지고, 힘을 잃은 모화는 예기소에서 죽은 여인의 넋을 건지기 위한 마지막 굿판을 벌이게 된다. 모화는 마침내 무아 지경의 상태로 춤을 추다가 물 속에 빠지게 되고, 낭이는 그를 데리러 온 아버지를 따라 어딘지 모르게 사라지게 된다.
이 작품은 우리의 전통적 토속 신앙인 무속이 변화라는 충격 앞에서 무너져 가는 과정을 잘 나타내고 있다. 전체적인 구성은 김동리 소설에서 흔히 쓰여지는 액자 구조의 형태로, 이야기 속에 또 하나의 이야기를 넣어 이중적인 허구화 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를테면 내부에 표현된 이야기에 대한 호기심의 유발과 그것을 확인시켜 주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무녀도》는 역사의 변화에도 굴복하지 않고 맞서려고 한 한 여인의 마지막 모습을 비극적 상황으로 제시한 점과 역사적인 시간을 뛰어넘어 인간적인 삶의 보편성을 암시하려고 한 작자의 세계관을 엿볼 수 있는 훌륭한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