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문덕곡(文德曲)
문덕곡
자 료 실
▶ 지식지도
원문/전문
시민 참여 콘텐츠
▶ 관련 동영상 (없음)
about 문덕곡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문덕곡 (文德曲)
1393년(태조 2)에 정도전이 지은 노래 . 조선을 새로 세우는 데 큰 공을 세운 개국 공신인 정도전이 조선의 창업이라는 경사를 기리고 축하하기 위하여 지은 노래이다.
▣ 지식지도
◈ 요약정보
문덕곡 (文德曲) 1393년(태조 2)에 정도전이 지은 노래. 조선을 새로 세우는 데 큰 공을 세운 개국 공신인 정도전이 조선의 창업이라는 경사를 기리고 축하하기 위하여 지은 노래이다. 악학궤범》에 한문 구절 끝에 토를 단 가사가 실려 있으며, 《태조실록》 4권 태조 2년 7월조와 《삼봉집》에 한시가 실려 있다. 조선이 건국된 후에 태조의 학문 의 덕을 기리기 위하여 지은 것 함께 지어진 노래로는 「몽금척」 「소보록」이 있다. 얼마 후 「문덕곡」은 나라의 제전이나 잔치 때에 쓰는 주악을 기록한 가사(악장)로 사용되었다.
◈ 지식지도
문덕곡 (文德曲) 악장 경기체가 고려 정도전 이색 조선 태조 조선 태종 삼봉집 악학궤범 태조실록 경제문감 고려사 납씨가 상대별곡 시용향악보 악장가사 여민락 용비어천가 월인천강지곡 조선 왕조 실록 조선경국전 처용가 화산별곡 정동방곡 신도가 제1차 왕자의 난 정읍사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문덕곡 文德曲 악장 정도전 (8)
▣ 시민참여콘텐츠
◈ 인기순 (1 ~ 4 위)
2019.06.23
【학습】 1393년(태조 2) 정도전(鄭道傳)이 지은 송도가(頌禱歌). 칠언 한시에 토가 달린 4장 6행의 현토체이다. ≪태조실록≫ 권4 태조 2년 7월조와 ≪삼봉집 三峯集≫에 한시가 전하며, ≪악학궤범≫에는 현토(懸吐)된 가사가 전한다.
 
◈ 등록순
2019.06.23
【학습】 1393년(태조 2) 정도전(鄭道傳)이 지은 송도가(頌禱歌). 칠언 한시에 토가 달린 4장 6행의 현토체이다. ≪태조실록≫ 권4 태조 2년 7월조와 ≪삼봉집 三峯集≫에 한시가 전하며, ≪악학궤범≫에는 현토(懸吐)된 가사가 전한다.
 
▣ 참조 카달로그
◈ 참조 키워드
납씨가 (3) 백과 상대별곡 (2) 백과 시용향악보 (2) 백과 신도가 (2) 백과 악장가사 (2) 백과 용비어천가 (2) 백과 월인천강지곡 (2) 백과 정동방곡 (2) 백과 화산별곡 (2) 백과
▣ 백과사전
1393년(태조 2)에 정도전이 지은 노래 . 조선을 새로 세우는 데 큰 공을 세운 개국 공신인 정도전이 조선의 창업이라는 경사를 기리고 축하하기 위하여 지은 노래이다.
 
악학궤범》에 한문 구절 끝에 토를 단 가사가 실려 있으며, 《태조실록》 4권 태조 2년 7월조와 《삼봉집》에 한시가 실려 있다.
 
조선이 건국된 후에 태조의 학문 의 덕을 기리기 위하여 지은 것으로, 함께 지어진 노래로는 「몽금척」 「소보록」이 있다. 얼마 후 「문덕곡」은 나라의 제전이나 잔치 때에 쓰는 주악을 기록한 가사(악장)로 사용되었다.
 
이 노래의 구성을 보면 개언로(開言路)·보공신(保功臣)·정경계(正經界)·정례악(定禮樂)의 4장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각 장의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개언로장'에서는 태조가 백성의 사정과 형편을 확실하게 알아보기 위하여 신하들이 임금에게 말을 올릴 수 있는 길을 넓게 열고, 백성들의 의견을 두루두루 자세히 듣는 일 등을 볼 때, 덕으로 천하를 다스리던 중국 고대의 모범적인 전설상의 제왕인 순(舜) 임금처럼 그 덕이 뛰어나다고 하였다.
 
'보공신장'에서는 태조가 조선을 세우는 데 온갖 지혜와 노력을 다 기울여 큰 공로를 세운 신하들을 잘 보살펴 주는 끝없는 덕을 노래하였다.
 
'정경계장'에서는 고려 시대에 무너져 버린 토지의 경계를 바로잡아 정리하고, 땅을 높낮이가 없도록 평평하게 만들어 창고를 가득 채우게 만들어 백성들이 편안하게 지내도록 다스린 태조의 높은 덕을 노래하였다.
 
'정례악장'에서는 정치에서 중요한 부분인 예법과 음악 을 새로 정하여 백성들로 하여금 생활하는 데 지켜야 할 도리와 질서를 바르게 잡아 주고, 서로 화합하여 싸우지 않고 평화를 누리며 살아가게 해 준 태조의 덕을 노래하였다.
 
「문덕곡」의 형식을 보면, 7언으로 된 한시에 한글로 토를 단 현토체로 4장 6행의 노래이다. 「문덕곡」은 처음에는 한시로 지어졌다가 나중에 춤출 때 연주하는 옛날 우리 나라의 궁중 음악인 아악으로 되어, 춤과 더불어 노래가 불려지면서 무악의 가락에 맞추기 위하여 한시 끝에 토를 달게 된 것으로 여겨진다. 그런데 「문덕곡」의 춤은 단순히 춤을 위한 것이라기보다는 노래의 가사가 중심이 된 대궐 안의 잔치에 하던 춤과 노래인 정재라고 볼 수 있다.
 
《태조실록》에 의하면 태조의 명령을 받은 정도전이 직접 춤을 추었다는 기록이 있지만, 《악학궤범》 성종조 향악정재도의(鄕樂呈才圖儀)에 처음으로 춤으로서의 형식이 갖추어짐을 볼 수 있다. 하지만 성기고 소박하게 구성된 춤으로서 춤출 때 어떤 기구를 사용하지 않는 점으로 볼 때, 임금이 대궐로 돌아오는 날에 임금이 타고 있는 수레인 어가를 맞이하면서 길에서 춤추며 노래하였던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점으로 보면 정재라고 보기에는 부족한 면이 있다.
 
성종 때 이후로 언제까지 「문덕곡」의 노래와 정재가 이루어졌는지는 정확하게 알 수 없다. 하지만 정재가 궁중에서 자주 행하여졌던 순조 때의 《진찬의궤》와 고종 때의 《정재무도홀기》에도 「문덕곡」이 나와 있지 않은 점으로 미루어 보면, 조선 시대 후기에는 「문덕곡」이 행하여지지 않았던 것으로 짐작된다.
 
현재는 노래의 가사와 간단한 춤의 순서만 기록으로 알 수 있을 뿐으로, 그 음악적 내용과 춤추는 모습 등에 대해서는 전하는 것이 없다.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심화항목(D)
내서재 추천 : 0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