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바이오 산업(bio産業)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바이오 산업 (bio産業)
생물 자체 또는 그들이 가지는 고유의기능을 높이거나 개량하여, 유용한 생물을 만들어 내거나물질을 생산하는 산업.
▣ 시민 참여 콘텐츠
조회수 : 0 (0 등급)
◈ 바이오산업 원·부자재 국산화 본격 시동
○ 바이오산업의 원·부자재를 국산화를 위한 준비가 착착 진행되고 있다. 인천시(시장 박남춘)는 12월 13일(금) 송도 셀트리온 제2공장에서 ‘바이오산업 원·부자재 국산화 및 수출산업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바이오의약품을 생산하는 대기업들이 필요로 하는 원부자재에 대한 기업설명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일자리경제본부 미래산업과 - 조인학 (032-440-4208)】
인천 광역시(仁川廣域市) 바이오 산업(bio産業) # 셀트리온
○ 바이오산업의 원·부자재를 국산화를 위한 준비가 착착 진행되고 있다. 인천시(시장 박남춘)는 12월 13일(금) 송도 셀트리온 제2공장에서 ‘바이오산업 원·부자재 국산화 및 수출산업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바이오의약품을 생산하는 대기업들이 필요로 하는 원부자재에 대한 기업설명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인천의 바이오산업>
○ 인천은 단일도시 기준 세계1위의 바이오생산시설을 갖추고 있고, 2017년 기준 1조 6,900억원 규모였던 바이오산업 생산액은 매년 크게 증가하여 올해는 2조원을 훨씬 상회할 것으로 예상되나, 원부자재의 98%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 게다가 첨단 기술 보안과 기술 특허 확보에 사활을 거는 신보호주의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어, 기술과 특허가 중요한 바이오산업의‘원천 기술 국산화’와‘수출 시장 개척’은 매우 시급한 과제가 되었다.
 
<업무협약 체결>
○ 이번 업무협약은 바이오 원부자재 국산화 및 수출산업화를 실현하기 위해 기관간 상호 적극 협력하는 것을 주요내용으로 바이오기업(셀트리온·삼성바이오·바이넥스·디엠바이오), 바이오협회(한국바이오협회·한국바이오의약품협회), 지원기관(인천상공회의소·인천테크노파크)과 인천시 등 9개 기관이 참여했다.
 
○ 앞으로 바이오의약품을 생산하는 대기업들은 바이오 원부자재의 국산 제품 사용을 활성화하고, 바이오협회·인천상공회의소·인천테크노파크 등 지원기관은 국산화를 촉진하기 위한 기술개발 및 제도개선, 인천시는 바이오산업 육성 기반구축 및 행정적 지원 역할을 맡게 된다.
 
인 천 광 역 시
· 행정적 지원 및 바이오산업 기반구축
-바이오산업 원․부자재 국산화 및 수출산업화를 위한 행정적 지원
-중앙정부 공모사업 추진 및 바이오산업 육성을 위한 기반 구축
바이오관련기업
· 일자리창출 및 바이오산업 국산화 제품 사용 활성화
- 바이오산업 원․부자재의 국산화 및 수출산업화를 통한 국내
바이오산업 육성 및 일자리 창출
- 바이오산업 원․부자재 국산화 및 수출산업화를 위한 품목
제공 및 정보교류와 발굴된 제품 사용 활성화
바이오관련협회
· 바이오산업 원․부자재 국산화 기술개발 및 제품화 지원
- 바이오산업 원․부자재 국산화 기술개발 및 산업화 생태계 조성
- 바이오산업 원․부자재 제품화 및 제도개선 지원
인천상공회의소
· 바이오산업 원․부자재 국산화 공급 기업 발굴 및 교류 지원
- 바이오산업 원․부자재 국산화 개발 및 공급 가능 기업 발굴
- 바이오산업 관련 수요기업 및 공급기업 교류 지원
인천테크노파크
· 기술교류 및 공급기업 육성
- 바이오산업 수요기업과 공급기업간 기술교류 및 정책자문
- 바이오산업 원․부자재 국산화 및 수출산업화를 위한 R&D 및
시제품 제작, 인증 및 평가 지원
 
○ 바이오 원부자재 국산화는 범정부적인 관심사항으로, 이날 업무협약식에는 이의경 식품의약품안전처장과 김연명 사회수석이 참석하여 바이오산업 원부자재 국산화와 수출산업화를 위한 지원을 약속하고, 기업과 지원기관들이 보다 지속적이고 적극적으로 국산화를 위해 노력해 줄 것을 당부했다.
 
<기업 설명회>
○ 바이오 원부자재에 대한 중소기업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마련된 설명회에서는 ㈜바이옥스 등 2개 업체의 원부자재 국산화 성공사례 발표, 바이오의약품 생산기업의 주요 원부자재 및 기계장치에 대한 설명, 셀트리온 공장 견학 순으로 진행되었다.
 
○ 바이오의약품 생산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원부자재는 약 300개 품목, 9천종에 이르는데 인천시는 이번 설명회를 통해 비교적 단기간에 국산화가 가능한 30개 품목을 우선 선정하여 중소기업들에게 안내하고, 앞으로 바이오기업 및 지원기관 등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국산화 품목을 매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 이를 위해 국산화를 위한 기업설명회를 정기적으로 개최하고, 중소·벤처기업의 원부자재 기술개발 및 시장 진입을 돕기 위한 지원방안을 다각적으로 강구해 나가기로 했다.
 
○ 박남춘 인천시장은 “송도의 바이오기업과 남동산업단지의 제조기업을 연계한 인천바이오헬스밸리를 조성하여 바이오 원부자재의 국산화 및 수출산업화를 앞당기겠다.”고 말했다.
 
○ 이를 위해 “바이오산업융합기술단지 등 인프라를 조기에 구축하고, 바이오산업 전담부서 설치, 기술개발을 위한 기업지원 확대 등을 통해 바이오산업이 미래 핵심산업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붙임. 업무협약식 및 기업설명회 행사개요
 
※ 관련 사진은 행사종료 후 인천시 홈페이지 ‘인천시 인터넷방송’(http://tv.incheon.go.kr/) ‘포토인천’에 게시될 예정입니다.
 
 
첨부 :
(2)1. 바이오산업 원부자재 국산화 본격 시동.hwp
 

 
※ 원문보기
인천 광역시(仁川廣域市) 바이오 산업(bio産業) # 셀트리온
【산업】바이오산업 원·부자재 국산화 본격 시동
(게재일: 2019.12.13. (최종: 2019.12.13. 23:38))  인천광역시 보도자료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시민 참여 콘텐츠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없 음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