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 
   
|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 
 
 
				       |        함경 남·북도와 중국 동북 지방과의 국경에 있는 우리 나라 최고의 산.       
     |     
 
				  
 
 
 
 
             
	
  
  
  	| 
  	 | 
  	 | 
   
  
  	| 
  		 
			지역 : 지역 > 한국
  		 
  		
함경 남·북도와 중국 동북 지방과의 국경 에 있는 우리 나라 최고의 산. 
장백 산맥의 주봉을 이루는 휴화산으로  압록강과  쑹화강 및  두만강의 수원이 된다.  
  
지리적 개관
해발 1,000m 정도까지의 산등성이는 유동성이 큰 현무암 으로 이루어진 아스피테식 화산(순상 화산)이며, 그 위에 약 1,600m 가량은 심한 알칼리 조면암으로 뒤덮여 독을 엎어 놓은 것같이 종 모양을 이루고 있다. 
산꼭대기에는 흰색의 부석(浮石)이 얹혀 있어 마치 흰머리와 같다고 하여 백두산이라 불린다. 
정상에는  칼데라호인 천지(天池)가 있는데, 이것은 화산이 폭발할 때 이루어진 화구(火口)로 둘레가 11.3km, 수심이 312.7m나 된다.  
  
이 천지는 압록강 의 수원이 되며, 그 화구벽인 병사봉은 2,744m로 백두산의 최고봉을 이룬다. 
  
국경 문제
이 산은 예로부터 성스러운 산으로 숭배되어서 고조선, 부여·고구려·발해와 중국의 금·청나라 등의 발상지가 모두 이 산과 관련을 맺고 있다. 
우리 나라는 단군이 내려온 성스러운 곳으로 특히 중요시하는데, 중국의 청나라에도 천지와 관계되는 건국 신화가 있었다. 
양국은 서로 이 산을 자기 나라의 발상지로 여겨 그 귀속을 문제삼았는데, 1712년(숙종 38년)에 조선은 청나라와의 사이에 협상을 벌여 쑹화강 의 지류인 토문강과 압록강으로 경계를 짓고, 백두산 산정에  정계비를 세웠다.  
그러나 중국은 이 비문의 토문강을 두만강 이라고 우김으로써 한말에 국경 분쟁이 일어났는데, 우리의 외교권을 강탈한 일제가 두만강을 토문강으로 인정하는 간도 협약을 맺었다. 
  
그러나 간도 협약 후에도 백두산은 여전히 우리 영토로 관리되다가, 광복 후 북한이 1962~1963년 사이에 국경에 관한 비밀 협상을 벌여 중국에 백두산 천지의 북쪽 부분의 거의 절반을 넘김으로써 우리 민족의 울분을 자아내고 있다. 
  
  		 
      	
  	 | 
   
   
 
	
	
	
	
  
 |  
  
    |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 
	  
	   | 
   
 |  
	| 
     
		◈ 참조 원문/전문
     
	 | 
	
     
     
	 | 
 
 |  
	| 
	 | 
   
   
 
	
	
		
		    
  | 
	 ◈ 조회순 
 |  
		    
		    
| 
 | 
 2020.04.05 
 | 
 
| 
 | 
 
| 
 
【역사】
[스카이데일리 연재] 나통산성 실체를 모르고 무모하게 도전한 초행길
  | 
 
 | 
 
 
 | 
| 
 | 
 2020.05.11 
 | 
 
| 
 | 
 
| 
 
【역사】
[스카이데일리 연재] 장군묘와 호산장성 대신에 봉황산에 들리다
  | 
 
 | 
 
 
 | 
 
| 
 | 
 2020.03.29 
 | 
 
| 
 | 
 
| 
 
【역사】
[스카이데일리 연재] 中, 용담산성의 고구려 유적 파묻고 흔적 지우기 시작
  | 
 
 | 
 
 
 | 
| 
 | 
 2020.03.22 
 | 
 
| 
 | 
 
| 
 
【역사】
[스카이데일리 연재] 북한에서 건너온 14세 소년 꽃제비를 만나다
  | 
 
 | 
 
 
 | 
 
| 
 | 
 2020.03.15 
 | 
 
| 
 | 
 
| 
 
【역사】
[스카이데일리 연재] 17C말 지리정보 어두웠던 조선 관리들, 백두산 차지하려는 淸 속셈 몰라
  | 
 
 | 
 
 
 | 
| 
 | 
 2020.03.08 
 | 
 
| 
 | 
 
| 
 
【역사】
[스카이데일리 연재] 백두산을 장백산으로 불러 소유하려는 중국 의도
  | 
 
 | 
 
 
 | 
 
| 
 | 
 2019.10.14 
 | 
 
| 
 | 
 
| 
 
【역사】
[스카이데일리 연재] 한국병탄의 원흉 이토를 죽인 장소…우리 문화의 시원지
  | 
 
 | 
 
 
 | 
| 
 | 
 2019.09.30 
 | 
 
| 
 | 
 
| 
 
【역사】
[스카이데일리 연재] 백두산·장백산 전혀 다른 산임에도 중국 영토야욕에 지명 왜곡
  | 
 
 | 
 
 
 | 
 
		 
		  
		
			
  | 
	 ◈ 최근등록순 
 |  
			
			
| 
 | 
 2020.05.11 
 | 
 
| 
 | 
 
| 
 
【역사】
[스카이데일리 연재] 장군묘와 호산장성 대신에 봉황산에 들리다
  | 
 
 | 
 
 
 | 
| 
 | 
 2020.04.05 
 | 
 
| 
 | 
 
| 
 
【역사】
[스카이데일리 연재] 나통산성 실체를 모르고 무모하게 도전한 초행길
  | 
 
 | 
 
 
 | 
 
| 
 | 
 2020.03.29 
 | 
 
| 
 | 
 
| 
 
【역사】
[스카이데일리 연재] 中, 용담산성의 고구려 유적 파묻고 흔적 지우기 시작
  | 
 
 | 
 
 
 | 
| 
 | 
 2020.03.22 
 | 
 
| 
 | 
 
| 
 
【역사】
[스카이데일리 연재] 북한에서 건너온 14세 소년 꽃제비를 만나다
  | 
 
 | 
 
 
 | 
 
| 
 | 
 2020.03.15 
 | 
 
| 
 | 
 
| 
 
【역사】
[스카이데일리 연재] 17C말 지리정보 어두웠던 조선 관리들, 백두산 차지하려는 淸 속셈 몰라
  | 
 
 | 
 
 
 | 
| 
 | 
 2020.03.08 
 | 
 
| 
 | 
 
| 
 
【역사】
[스카이데일리 연재] 백두산을 장백산으로 불러 소유하려는 중국 의도
  | 
 
 | 
 
 
 | 
 
| 
 | 
 2019.10.14 
 | 
 
| 
 | 
 
| 
 
【역사】
[스카이데일리 연재] 한국병탄의 원흉 이토를 죽인 장소…우리 문화의 시원지
  | 
 
 | 
 
 
 | 
| 
 | 
 2019.09.30 
 | 
 
| 
 | 
 
| 
 
【역사】
[스카이데일리 연재] 백두산·장백산 전혀 다른 산임에도 중국 영토야욕에 지명 왜곡
  | 
 
 | 
 
 
 | 
 
| 
 | 
 2019.07.21 
 | 
 
| 
 | 
 
| 
 
【역사】
[스카이데일리 연재] 중국이 추진한 백두산공정의 목표…지역 확보, 한민족 흔적 삭제
  | 
 
 | 
 
 
 | 
| 
 | 
 2019.07.13 
 | 
 
| 
 | 
 
| 
 
【역사】
[스카이데일리 연재] 1776년 서명응이 지은 백두산…우리 민족의 영산이자 ‘민족신앙지’
  | 
 
 | 
 
 
 | 
 
| 
 | 
 2019.07.06 
 | 
 
| 
 | 
 
| 
 
【역사】
[스카이데일리 연재] 백두산과 장백산이 같은 산이 아냐…한족들이 억지로 붙인 지명
  | 
 
 | 
 
 
 | 
| 
 | 
 2018.09.20 
 | 
 
 | 
 
| 
 | 
 
| 
 
【정치】
  | 
 
 | 
 
 
 | 
 
| 
 | 
 | 
 
		 
		
	 
	
	
	
 
				
  
    | 
      [광고]     | 
   
|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 
			
				 
				
				 
				 
  
				 
 ▣ 카달로그 작업 
  ▷ 마을 소식 (없음)
 
  
▣ 참조정보 
없 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