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백두산(白頭山)
백두산
자 료 실
마을 소식
▶ 지식지도
원문/전문
시민 참여 콘텐츠
관련 동영상
참여 시민
(A) 상세카탈로그
예술작품
여행∙행사
안전∙건강
인물 동향
about 백두산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백두산 (白頭山)
함경 남·북도와 중국 동북 지방과의 국경에 있는 우리 나라 최고의 산.
▣ 지식지도
◈ 지식지도
백두산 (白頭山) 두만강 쑹화강 압록강 간도 토문강 1909년 1712년 박권 간도 협약 만주 사변 백두산 정계비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 참조 원문/전문
유백두산기 遊白頭山記 고전 수필 서명응(徐命膺) (37) 백두산 근참기 白頭山 覲參記 근/현대 수필 최남선 (33) 백두산 길에서 근/현대 시 신채호 (12) 백두산음오수 白頭山吟五首 근/현대 시 김상용 (9) 잊지 못할 그 강 그 산 근/현대 수필 김상용 (8) 두만강반의 일야 근/현대 수필 김상용 (7) 조선의 산악미 근/현대 수필 김상용 (6)
▣ 시민참여콘텐츠
(총 14 개) [모두보기]
◈ 인기순 (1 ~ 4 위)
2020.03.29
【역사】 [스카이데일리 연재] 中, 용담산성의 고구려 유적 파묻고 흔적 지우기 시작
2020.03.08
【역사】 [스카이데일리 연재] 백두산을 장백산으로 불러 소유하려는 중국 의도
2020.05.11
【역사】 [스카이데일리 연재] 장군묘와 호산장성 대신에 봉황산에 들리다
2019.07.13
【역사】 [스카이데일리 연재] 1776년 서명응이 지은 백두산…우리 민족의 영산이자 ‘민족신앙지’
◈ 등록순
2020.05.11
【역사】 [스카이데일리 연재] 장군묘와 호산장성 대신에 봉황산에 들리다
2020.04.05
【역사】 [스카이데일리 연재] 나통산성 실체를 모르고 무모하게 도전한 초행길
2020.03.29
【역사】 [스카이데일리 연재] 中, 용담산성의 고구려 유적 파묻고 흔적 지우기 시작
2020.03.22
【역사】 [스카이데일리 연재] 북한에서 건너온 14세 소년 꽃제비를 만나다
2020.03.15
【역사】 [스카이데일리 연재] 17C말 지리정보 어두웠던 조선 관리들, 백두산 차지하려는 淸 속셈 몰라
2020.03.08
【역사】 [스카이데일리 연재] 백두산을 장백산으로 불러 소유하려는 중국 의도
2019.10.14
【역사】 [스카이데일리 연재] 한국병탄의 원흉 이토를 죽인 장소…우리 문화의 시원지
2019.09.30
【역사】 [스카이데일리 연재] 백두산·장백산 전혀 다른 산임에도 중국 영토야욕에 지명 왜곡
2019.07.21
【역사】 [스카이데일리 연재] 중국이 추진한 백두산공정의 목표…지역 확보, 한민족 흔적 삭제
2019.07.13
【역사】 [스카이데일리 연재] 1776년 서명응이 지은 백두산…우리 민족의 영산이자 ‘민족신앙지’
2019.07.06
【역사】 [스카이데일리 연재] 백두산과 장백산이 같은 산이 아냐…한족들이 억지로 붙인 지명
2018.09.20
백두산 천지에서 맞잡은 두 손  2018-09-20
【정치】
2018.09.20
【정치】
2018.09.20
【정치】
▣ 참조 동영상 (인기순, 1~10 위)
▣ 참조 카달로그
◈ 주요 언급 키워드
기행문 (5) 백과 김상용 (3) 백과 수필 (3) 백과 1936년 (2) 백과 (2) 백과 조광 (2) 백과
◈ 참조 키워드
두만강 (5) 백과 고구려산성 (3) 남북 정상 회담 (3) 백과 백두산 천지 (3) 압록강 (3) 백과 옌지 시 (3) 백과 지린성 (3) 백과 토문강 (3) 백과 투먼 시 (3) 백과 고구려 (2) 백과 나통산성 (2) 룽징 시 (2) 백과 마천령 산맥 (2) 백과 목극등 (2) 백과 백두산 정계비 (2) 백과 쑹화강 (2) 백과 안도 (2) 연변 조선족 자치주 (2) 백과 장백산 (2) 하얼빈 시 (2) 백과 함경 북도 (2) 백과
▣ 백과사전
함경 남·북도와 중국 동북 지방과의 국경 에 있는 우리 나라 최고의 산.
장백 산맥의 주봉을 이루는 휴화산으로 압록강쑹화강두만강의 수원이 된다.
 

지리적 개관

해발 1,000m 정도까지의 산등성이는 유동성이 큰 현무암 으로 이루어진 아스피테식 화산(순상 화산)이며, 그 위에 약 1,600m 가량은 심한 알칼리 조면암으로 뒤덮여 독을 엎어 놓은 것같이 종 모양을 이루고 있다.
산꼭대기에는 흰색의 부석(浮石)이 얹혀 있어 마치 흰머리와 같다고 하여 백두산이라 불린다.
정상에는 칼데라호인 천지(天池)가 있는데, 이것은 화산이 폭발할 때 이루어진 화구(火口)로 둘레가 11.3km, 수심이 312.7m나 된다.
 
이 천지는 압록강 의 수원이 되며, 그 화구벽인 병사봉은 2,744m로 백두산의 최고봉을 이룬다.
 

국경 문제

이 산은 예로부터 성스러운 산으로 숭배되어서 고조선, 부여·고구려·발해와 중국의 금·청나라 등의 발상지가 모두 이 산과 관련을 맺고 있다.
우리 나라는 단군이 내려온 성스러운 곳으로 특히 중요시하는데, 중국의 청나라에도 천지와 관계되는 건국 신화가 있었다.
양국은 서로 이 산을 자기 나라의 발상지로 여겨 그 귀속을 문제삼았는데, 1712년(숙종 38년)에 조선은 청나라와의 사이에 협상을 벌여 쑹화강 의 지류인 토문강과 압록강으로 경계를 짓고, 백두산 산정에 정계비를 세웠다.
그러나 중국은 이 비문의 토문강을 두만강 이라고 우김으로써 한말에 국경 분쟁이 일어났는데, 우리의 외교권을 강탈한 일제가 두만강을 토문강으로 인정하는 간도 협약을 맺었다.
 
그러나 간도 협약 후에도 백두산은 여전히 우리 영토로 관리되다가, 광복 후 북한이 1962~1963년 사이에 국경에 관한 비밀 협상을 벌여 중국에 백두산 천지의 북쪽 부분의 거의 절반을 넘김으로써 우리 민족의 울분을 자아내고 있다.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심화항목(D)
내서재 추천 : 0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