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부여 능산리 고분군(扶餘陵山里古墳群)
부여 능산리 고분군
자 료 실
▶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관련 동영상
about 부여 능산리 고분군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부여 능산리 고분군 (扶餘陵山里古墳群)
(사적 제14호) 충청 남도 부여군 부여읍 능산리에 있는 백제 시대의 무덤들. 부여에서 논산 쪽으로 3㎞ 정도 떨어진 산의 남쪽 기슭에 있다. 왕릉으로 추정되는 이 무덤들은 3기씩 앞뒤 2열을 이루고 1 기가 뒤에 떨어져 있어 모두 7 기로 구성되어 있다.
▣ 지식지도
◈ 지식지도
부여 능산리 고분군 (扶餘陵山里古墳群) 돌방무덤 부여군 부여 고분군 부여 송국리 고분
▣ 참조 동영상 (인기순, 1~10 위)
▣ 참조 카달로그
◈ 참조 키워드
부여군 (3) 백과 금강 (2) 백과 무량사 (2) 백과 백마강 (2) 백과 부여 관북리 유적 (2) 백과 부여 나성 (2) 백과 부여 부소산성 (2) 백과 부여 송국리 고분 (2) 백과 부여 정림사지 (2) 백과 차령 산맥 (2) 백과
▣ 백과사전
충청 남도 부여군 부여읍 능산리에 있는 백제 시대의 무덤들. 사적 제14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부여에서 논산 쪽으로 3㎞ 정도 떨어진 산의 남쪽 기슭에 있다. 왕릉으로 추정되는 이 무덤들은 3기씩 앞뒤 2열을 이루고 1 기가 뒤에 떨어져 있어 모두 7 기로 구성되어 있다.
 
1915~1937년 구로이티, 세키노, 야쓰이 등 일본 학자가 여러 차례 조사하면서 널리 알려지기 시작하였는데, 1호분에 있는 사신도 벽화로 더욱더 유명해졌다.
 
이 고분의 내부 구조는 널길이 있는 횡혈식 석실분으로 뚜껑돌 이하를 모두 지하에 지은 완전한 지하 석실분이다.
 
석실의 구조 형식은 다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석실의 수직벽 위에 판석을 바로 올려 놓은 평천장식 석실분으로 1 호분이 여기에 속한다. 둘째는, 2 호분과 같은 형식으로 장대석이 있는 터널식 천장 석실분인데, 평면은 1 호분 과 비슷하나 벽체와 천장 축조 방식은 약간 다르다. 재료로는 장대석을 사용하였고 천장을 송산리 6 호분이나 무령 왕릉같이 굴처럼 곡선을 이루게 하였다. 셋째는, 3 호분과 같은 형식인 천장이 평사식으로 된 판석조 석실분이다. 이 무덤들은 일찍이 도굴당하여 부장품은 거의 사라지고 몇 점의 파편만 출토되었다. 5 호분에서는 관대 위에서 두개골 파편, 칠을 한 목관 조각, 금동제 장신구 등이 전해지고 있을 뿐이다. 매장 방식은 1·2·3호는 어울무덤 즉 합장 형태이고, 5 호분은 홑무덤, 즉 단장으로 추정된다. 시신의 머리는 북쪽을 향하고, 관이 놓인 바닥은 돌을 벽돌 모양으로 잘라 깔아 놓았다.
 
고분이 만들어진 순서와 구조를 대략 살펴보면, 가장 먼저 만들어진 2 호분은 천장의 구조가 터널식으로 되어 있는 점으로 보아 무령 왕릉과 기본 구조는 같고, 장대석을 한 점만이 다르다. 1 호분의 천장은 평천장이지만 널길이 두 부분으로 구성되고 밖으로 갈수록 점점 넓어지는 형태로, 이러한 형식은 고구려 석실분에서 찾아볼 수 있다.
 
만든 시기는 대략 6세기 중엽~7세기 중엽으로 보이는데, 편년이 가장 앞서는 2호분은 부여로 수도를 옮긴 성왕 의 무덤으로 추정된다.
 
이 무덤들은 고구려와 중국 남조 를 통해 받아들인 문화적 요소를 완전히 소화시킨 백제 후기 고분 미술의 대표이다.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