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 아시아 내륙부를 가로질러 중국과 서아시아, 지중해까지 이어졌던 동서 교통로. 비단길이라고도 한다. 중국의 특산물인 비단이 이 길을 통해 서방 세계에 전해진 데서 그 이름이 생겼다.
비단길은 비단만이 아니라 재화와 인간의 교류에도 영향을 미쳐 7~8세기경까지 동서 문화 교류의 대동맥 구실을 하였으며, 이 길을 통해서 불교나 조로아스터교와 같은 종교와 간다라 미술 및 사산조의 공예 등이 중국에 전해졌다.
8세기 중엽 이후 중앙 아시아의 혼란과 해상 교통의 발달로 쇠퇴하였다.
톈산 남로 (天山南路)
중국 북서부, 톈산 산맥 남쪽 기슭을 통하는 동서 교통로. 예로부터 동서 통상의 중요한 통로였으며, 흔히 비단길(실크로드)이라 불린다.
이 길을 따라서 투르판, 카라샤르, 쿠차, 아쿠스, 카슈가르 등의 오아시스 도시가 늘어서 있으며, 그 남쪽으로는 타클라마칸 사막이 넓게 펼쳐져 있다.
톈산 북로 (天山北路)
중국 북서부, 톈산 산맥 북쪽 기슭을 통하는 동서 교통로. 톈산 남로와 함께 좁은 뜻의 비단길(실크 로드)로 불리는 지역이다.
톈산 산맥 동쪽의 투르판 부근에서 톈산 남로와 갈라지며, 연변에는 우루무치, 이닝 등의 오아시스 도시가 있다.
두 통로는 파미르 고원 서쪽에서 다시 만나, 서투르키스탄과 이란 고원을 거쳐 지중해 동쪽 기슭에 이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