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성불사(成佛寺)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성불사 (成佛寺)
황해도 황주군 주남면 정방리에 있는 절. 도선 국사가 창건했다 하나 연대는 분명하지 않다.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졌다가 1751년(영조 27년)에 찬훈 대사가 다시 세웠다.
▣ 지식지도
◈ 지식지도 비교
성불사 (成佛寺) (寺) 31 본산 불교 (佛敎) 음양 오행설 화엄 십찰 (華嚴十刹) 삼보사찰 (三寶寺刹) 802 해인사 (海印寺) 681 고운사 (孤雲寺) 672 봉정사 (鳳停寺) 643 월정사 (月精寺) 426 대흥사 (大興寺) 금산사 (金山寺) 마곡사 (麻谷寺) 백양사 (白羊寺) 범어사 (梵魚寺) 법주사 (法住寺) 부석사 (浮石寺) 불국사 (佛國寺) 선운사 (禪雲寺) 송광사 (松廣寺) 수덕사 (修德寺) 쌍계사 (雙磎寺) 연곡사 (鷰谷寺) 조계사 (曹溪寺) 직지사 (直指寺) 통도사 (通度寺) 화엄사 (華嚴寺) 선암사 (仙巖寺) 쌍봉사 (雙峰寺) 초문사 (肖門寺) 1371년 1358년 1347년 827 도선 (道詵) 1320 나옹 (懶翁) 1351 공민왕 (恭愍王) 887 강천사 (剛泉寺) 854 용주사 (龍珠寺) 전등사 (傳燈寺) 수종사 (水鍾寺) 나옹집 (懶翁集) 나옹화상가송 나옹화상어록 서왕가 (西往歌) 도선비기 (道詵秘記) 969 봉선사 (奉先寺) 751 석굴암 석굴 경주 흥륜사지 양주 회암사지 김룡사 법흥사 (法興寺) 건봉사 (乾鳳寺) 운주사 (雲住寺) (미정의) 성불사의밤
▣ 백과사전
황해도 황주군 주남면 정방리에 있는 절. 도선 국사가 창건했다 하나 연대는 분명하지 않다.
 

변천

 
1327년(충숙왕 14)에 나옹(懶翁)이 성불사 응진전을 비롯한 산내 암자에 15기의 석탑을 안치하였다고 전해진다. 공민왕 23년(1374)에는 극락전이 건립되는 등 20여 채의 승료와 1,000여 명의 거승, 암자가 10곳, 석탑이 15기였다. 안팎에 범패 소리가 서로 이어지고, 단청의 금빛이 찬란하여 사찰의 웅장함이 비길 데가 없었다. 특히 응진전은 부석사 무량수전이나 심원사 보광전과 함께 고려 말기를 대표한다.
 
1453년(단종 1) 관찰사 배환(裵桓) 등이 악질 토지를 위한 수륙재를 개설하였다. 1569년(선조 2) 승려 설숭(雪崇)이 중수하였으나, 임진왜란으로 소진되었다. 1632년(인조 10) 정방산에 성을 쌓은 이후부터 성불사는 해서지방의 종찰이 되었다.
 
1650년(효종 1) 승려 언택(彦澤)이 중건하였고, 1684년(숙종 10)에 승려 도행(道行)이 장륙 탱화를 조성하고, 민귀(敏歸)는 400근 짜리 대종을 주조하였다. 1709년(숙종 35)에 필형(弼浻) 등이 갑계를 창설하여 명부전의 성상들을 조성하였고, 2년 뒤에는 명부전 건물을 세워 봉안하였다. 1751년(영조 27)에는 승려 찬훈(贊訓)이 수리하였다.
 
일제강점기에는 성불사가 31본산 중 하나로 36개 말사를 관장하였다. 1924년 주지 보담(寶潭)이 수리하였다. 성불사에는 5층 석탑을 중심으로 극락전, 응진전, 명부전, 청풍루, 운하당, 산신각 등이 있다. 홍난파 작곡의 가곡 「성불사의 밤」의 무대로 유명하다.
◈ 조회순
2024.07.12
20. 황해도 해주 성불사를 찾아서
【문화】 황주(黃州)땅을 찾으려고 사리원(沙里院)을 떠나 북쪽으로 기차를 달려, 심촌역에 도달한다. 유리알같이 푸르른 가을 하늘에 바람도 없는 초가을인데, 따가울 정도로 살이 내리쪼인다. 들판에는 추수(秋收)가 거의 끝났는지 쓸쓸하게 볏단이 놓여 있고, 먼산이 코앞에 다가선다. 참새떼가 소란히 지저귀며 날라가는 쪽을 보니 그것이 정방산(正方山)이다. 성불사(成佛寺)는 여기에 있다.
 
 
◈ 최근등록순
2024.07.12
20. 황해도 해주 성불사를 찾아서
【문화】 황주(黃州)땅을 찾으려고 사리원(沙里院)을 떠나 북쪽으로 기차를 달려, 심촌역에 도달한다. 유리알같이 푸르른 가을 하늘에 바람도 없는 초가을인데, 따가울 정도로 살이 내리쪼인다. 들판에는 추수(秋收)가 거의 끝났는지 쓸쓸하게 볏단이 놓여 있고, 먼산이 코앞에 다가선다. 참새떼가 소란히 지저귀며 날라가는 쪽을 보니 그것이 정방산(正方山)이다. 성불사(成佛寺)는 여기에 있다.
 
▣ 참조 카달로그
◈ 참조 키워드
황해도 (4) 백과 정방 산성 (3) 백과 건봉사 (2) 백과 고운사 (2) 백과 광조사 (2) 백과 귀주사 (2) 백과 기림사 (2) 백과 대방 고분 (2) 대흥사 (2) 백과 마곡사 (2) 백과 백양사 (2) 백과 범어사 (2) 백과 법주사 (2) 백과 법흥사 (2) 백과 보석사 (2) 보현사 (2) 백과 봉산 탈춤 (2) 백과 봉선사 (2) 백과 봉은사 (2) 백과 사리원시 (2) 백과 석왕사 (2) 백과 선암사 (2) 백과 송광사 (2) 백과 심원사 (2) 영명사 (2) 용주사 (2) 백과 월정사 (2) 백과 위봉사 (2) 유점사 (2) 백과 은해사 (2) 자비산 (2) 전등사 (2) 백과 (2) 백과 통도사 (2) 백과 패엽사 (2) 백과 해인사 (2) 백과 화엄사 (2) 백과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 동음이어
충청남도 천안시 태조산(太祖山)에 있는 절. 신라 말기에도 도선이 창건하였고, 1271년에 무학(無學)이 다시 고쳤다고 한다.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시민 참여 콘텐츠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